항목 ID | GC09400190 |
---|---|
한자 | 佛岩洞 |
영어공식명칭 | Bulam-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송경진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4월 1일 - 경상남도 김해군 좌부면 불암리 개설 |
---|---|
변천 시기/일시 | 1918년 7월 1일 - 경상남도 김해군 좌부면 불암리에서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면 불암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31년 11월 1일 -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면 불암리에서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읍 불암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7년 6월 -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읍 불암리에서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읍 불암동으록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1년 7월 1일 -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읍 불암동에서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으로 개편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1년 7월 -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 지내동을 관할하는 불암동[행정동] 개설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5년 1월 - 불암동사무소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으로 이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8년 5월 - 불암동 행정복지센터 신청사 개청 |
성격 | 법정동 |
면적 | 1.27㎢ |
가구수 | 445가구 |
인구[남/여] | 762명[남 422명/여 340명] |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불암동은 김해시 동쪽에 자리하여 북쪽은 김해시 지내동과 맞닿아 있고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불암동이다.
[명칭 유래]
김해와 부산의 경계인 서낙동강 변 신어산 끝자락에 부처바위가 있어서 불암동으로 불렀으나, 부처바위는 남해고속도로를 건설할 때 훼손되어 지금은 그 자취를 알 수 없다.
[형성 및 변천]
불암동은 1789년(정조 13)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 김해도호부(金海都護府)의 활천면 14개 리 중 하나인 불암리(佛巖里)로 올라와 있다. 활천면이 속한 김해 지역은 1895년(고종 32) 23부제가 시행되면서 진주부 김해군이 되었고, 1896년 13도제가 시행되면서 경상남도 김해군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개편 때 활천면과 좌부면을 합하여 김해군의 14개 법정면 중 하나인 좌부면으로 하고, 활천면 불암리를 좌부면의 법정리인 불암리로 하였다. 1918년 7월 1일 좌부면과 우부면을 합하여 김해면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31년 11월 1일 김해면이 김해읍으로 승격하였다. 1947년 6월 불암리를 불암동으로 바꾸었다, 1981년 7월 1일 김해읍이 김해군에서 김해시로 분리, 승격하면서 김해시 불암동이 되었다. 이때 불암동과 지내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으로 불암동이 설치되었다. 1985년 1월 불암동사무소가 불암동으로 이전하였다. 1995년 5월 10일 김해군과 김해시가 통합하였다. 2018년 5월 불암동 행정복지센터 신청사가 문을 열었다.
[자연환경]
불암동의 북동쪽으로 돗대산[381m]이 신어산[630.7m]과 연결되어 있고, 서쪽 일대는 낙동강 유역의 퇴적 평야로 평지를 이룬다. 불암동의 남쪽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부산광역시 강서구와 접한다.
[현황]
2023년 12월 31일 기준 불암동의 면적은 1.27㎢이며, 445가구, 762명[남자 422명, 여자 340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불암동의 동쪽에는 2011년 9월에 개통한 부산-김해경전철의 불암역이 있고, 남해고속도로가 지나가 교통이 편리하고 접근성이 좋다. 서낙동강 변에 자리하여 장어잡이에 종사하던 주민이 많았던 곳으로, 지금은 먹자 거리인 불암장어타운이 조성되어 장어를 파는 식당이 많이 들어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