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400345
한자 懸鍾院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지명,고지명
지역 경상남도 김해시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김광철

[정의]

고려 시대 경상남도 김해 지역에 있었던 사찰 부속의 교통 숙박 시설.

[개설]

현종원은 고려 시대 김해 신어산의 구암사(龜巖寺)에서 관리하였던 교통 숙박 시설이다. 남쪽으로 가는 길목에 자리 잡고 있어서 여행자들이 많이 이용하였던 시설인데, 오랜 기간 무너진 상태로 있다가, 1198년에 김해 향리가 공사비를 내고 구암사 승려가 공사를 감독하여 웅장하게 중창하였다.

[제정 경위 및 목적]

원(院) 또는 원관(院館)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공무로 여행하는 사람에게 숙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중요한 길목에 설치된 편의 시설이었다. 고려 시대 원은 대체로 사찰에 부속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고 역 가까이에 건립되어 있었다. 현종원도 김해 신어산 동쪽에 있었던 구암사에서 관리하고 있었다. 건립 시기는 1198년(신종 1)에 중창하였던 것을 보면, 이 보다 훨씬 이전 시기였을 것이다. 현재 알려져 있는 가장 이른 시기 원관으로는 고려 현종 대에 개창한 봉선홍경사(奉先弘慶寺)의 광연통화원(廣緣通化院)이라는 점도 참고할 만하다. 현종원도 이 보다 그렇게 늦지 않은 시기에 건립되었을 것이다.

[관련 기록]

현종원의 존재를 알려주는 유일한 기록은 이규보가 쓴 「현종원중창기(懸鍾院重創記)」이다. 퇴락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있었던 현종원을 이전 보다 큰 규모로 중창하는 과정과 중창 후의 모습을 기록하고 있다.

[내용]

현종원(懸鐘院)은 고려 수도 개경에서 남쪽으로 가는 중요한 길목에 자리 잡았다. 현종원의 입지를 보면, 당시 김해 치소에서 동쪽으로 10리 쯤 떨어진 신어산의 동쪽에 위치하였는데, 남쪽은 바다로 연결되고 서쪽에는 촌락이 펼쳐져 있었다. 김해 지역 5개 역 가운데 덕산역이 치소에서 동쪽 37리 지점에 위치해 있었으며, 양산으로 통하는 동원진과 동래로 가는 불암진이 주변에 설치되어 있었다. 현종원은 이와 같은 입지 조건 속에서 고려 전기 어느 시기에 구암사가 관리하는 원관으로 건립되어 여행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었다.

현종원은 12세기 말이 되면 퇴락한 상태가 되어 숙박 시설로서의 본래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김해 지역 토착 세력으로 김씨 성을 가진 김해부리(金海府吏)가 중창을 결심하고 필요한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자신의 가산을 모두 희사하였다. 중창 사업의 책임은 구암사 승려가 맡아서, 공인(工人)을 모집하고 필요한 재목을 모아 중창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 육중한 들보와 큰 마룻대를 써서 실내를 웅장하게 만들었고 높은 문과 큰 중문을 달아서 그 외면을 견고히 하였을 뿐만 아니라, 높은 담으로 둘러 사방을 튼튼하게 막음으로써 여행자들이 안심하고 묵을 수 있도록 하였다.

원관 이외에 휴게 공간으로서 별도의 정자도 하나 건립되었다. 이 곳에는 평상과 방석 등을 두어서 휴식하기 좋게 하였고, 사발과 잔 등 기명류를 갖추어 차나 물을 마실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중창한 현종원은 여행자들의 숙박 시설이었을 뿐만 아니라, 지역 지식인들의 교유와 휴식 공간으로도 활용되었을 것이다.

[변천]

고려와 조선 시대 김해 지역의 역원(驛院) 관련 정보를 알려주는 『경상도속찬지리지』[1469년]의 김해 원우(院宇)조나 『신증동국여지승람』[1530년]의 역원조 등 여러 지리서에서는 현종원의 존재를 찾을 수 없다. 현종원은 이들 지리서가 편찬되었던 조선 전기에는 이미 소멸되었거나 다른 것으로 바뀌었던 것 같다. 고려 전기에 건립된 사찰 부속의 원관(院館)들은 여몽전쟁을 거치면서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였고, 공민왕 대 이후에는 명칭은 여전히 원(院)으로 썼지만 사찰로서의 기능이 없는 객관의 성격을 띠게 되었고, 국가가 관리하고 지원하는 것으로 변하였는데, 현종원도 이와 같은 길을 걸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고려 시대 김해 지역에 자리 잡았던 현종원의 사례는 당시 사찰과 원관, 참역, 그리고 재지 세력인 이족(吏族)의 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사찰이 여행자들의 공간으로 활용되었다고 하더라도 예배의 공간과 원관으로서 숙박 공간은 분리되어 있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