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400290 |
---|---|
한자 | 鐵器 時代 |
영어공식명칭 | Iron Ag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상남도 김해시 |
시대 | 선사/철기 |
집필자 | 소배경 |
[정의]
경상남도 김해 지역에서 쇠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던 시기의 역사와 문화.
[개설]
경상남도 김해시의 철기 문화는 위만 조선의 멸망과 함께 유이민들이 경상도 지역으로 남하하면서 본격화되었다. 청동기 후기 문화를 영유하던 토착 집단에 청동기와 초기 철기 문화를 복합적으로 영유하던 유이민 집단이 자극이 되면서 경상도 지역의 사회 발달을 크게 진전시켰다. 그러한 사정을 잘 보여주는 김해시의 대표적인 철기 시대 유적은 구산동 유적이다. 그리고 사회 통합과 정치체의 성장 결과 구야국, 고자국, 사물국 등의 소국을 형성하였고, 김해 지역에서는 금관가야가 형성되었다.
[철기 시대]
철기 시대란 철기가 사용되기 시작한 서기전 300년경부터 삼국이 정립된 서기 300년까지를 말한다. 철기시대를 두 시기로 나누어 서기전 300년에서 서기 전후[혹은 기원후 100년]까지를 초기철기시대로, 서기 전후[혹은 기원전 100년]부터 서기 300년까지를 원삼국 시대[혹은 삼한 시대]로 구분한다. 한반도에서는 철기 유입 시기와 이미 정착되어 있던 후기 청동기 시대가 잘 구분되지 않는다는 전제 아래 초기 철기 문화에 후기 청동기를 포함하여 서기전 300년부터 기원 전후까지를 초기 철기 시대로 편년하고 있다. 김해의 초기 철기 시대도 이 틀 속에서 분류하고 있다.
[김해의 초기 철기 시대]
기원전 108년 한군현의 설치는 북방의 위만 조선이 멸망하여 위만 조선 유이민들이 경상도로 남하하는 계기가 되었다. 위만 조선은 청동기 문화와 철기 문화의 복합 문화지였다. 이러한 유이민들의 움직임은 고인돌을 축조하면서 생활을 영위하던 토착 집단에 커다란 자극이 되었다. 이들이 가지고 왔던 발달된 청동기와 초기 철기 문화는 김해, 창원, 사천 등 경상도 지역의 사회 통합을 진전시켜 나가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출토 유물의 현황을 보면, 기원전 1세기경부터 기원 전후 시기까지 경상도 지역에서는 철기 유물과 함께 청동기 유물과 유적들의 출토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의 선진적인 문화를 바탕으로 강력한 세력 집단이 대두하게 되면서, 고인돌을 축조하면서 생활을 영위해 오던 읍락 간에도 위계화가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읍락의 위계화가 점점 진전되어 나가면서 읍락 간의 격차가 심해지게 되어 어느 시기에 이르게 되면 비로소 사회적·경제적으로 하나로 통합된 국가 단계에 들어서게 된다. 이들 토착 집단들은 초기 철기 문화가 파급되면서 사회 통합을 진전시켜 하나의 읍락을 중심으로 구야국, 고자국, 사물국 등의 소국(小國)을 형성하였다. 김해의 낙동강 하류 지역에서는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금관가야가 형성되었다.
[김해의 제철 기술 수용과 변천]
김해 구산동 유적의 집자리에서는 기원전 2세기 일본 야요이 시대 사람들이 사용한 토기와 주조 철제품이 출토되었다. 이것은 김해 지역의 초기 철기 문화 수용과 전개에 결정적인 고고학적 증거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구산동 유적의 철기 자료는 기원후 3세기에 저술된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에 기록된 낙랑(樂浪)과 대방(帶方)이 변한으로부터 철을 수입하였다는 기록보다 이른 시기의 고고학적 증거이다. 그 후 변한에서 나오는 철이 한(韓)과 예(濊)·왜(倭) 뿐만 아니라 낙랑·대방군까지 공급되었으며, 철이 중국의 화폐와 같이 사용되었다는 기록으로 볼 때 금관가야의 철 자원이 중요한 교역품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구산동 유적 집자리에서 무문 토기와 함께 출토된 다량의 일본 야요이계 토기는 당시의 한일 교류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무문 토기 중에서도 토기 입술 모양이 원형인 점토대 토기 옹과 토기의 입술 모양이 삼각형인 점토대 토기 옹이 출토되어 청동기 시대 늦은 시기라는 시간 폭에 해당한다. 인류가 최초로 사용한 금속 청동은 기원전 15세기~12세기 무렵에 한반도에 등장하였다. 이때부터 기원전 3세기 무렵 철기가 등장하기까지를 ‘청동기 시대’라고 한다. 김해 구산동 유적은 청동기 시대와 초기 철기 시대 마을이 확인된 중요한 유적이다.
한반도의 철 문화는 중국의 전국계(戰國系) 철기가 유입되면서 시작되었다는 것이 학계의 정론이며, 청천강 이북 지역에 먼저 유입된 철 문화는 점차 대동강 유역과 남부 지역으로 확산하였다. 한반도 남부는 호서 지역을 시작으로 이후 영산강 유역과 낙동강 유역으로 전파되면서 철 문화가 본격화되었다. 호서 지역의 철 문화는 주조 철기의 농·공구류 중심이지만, 낙동강 유역으로 전파될 무렵에는 여기에 단조제의 무기와 농·공구류가 부가되었다. 김해 구산동 마을에서는 주조 철기 및 파손된 주조 철기 조각을 재가공한 철기와 단조제 손칼 같은 비교적 간단한 공구 등 소량의 철기와 석기가 조합을 이루며 출토되었다. 그러나 낙동강 하구 유역에 철 문화가 출현한 단계의 제철 기술은 제련과 정련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으며, 파손된 주조 철기의 철편을 재가공-연마 등의 방법으로 날 정도만 가공한 것이었다. 구산동 유적 집자리에서는 연마되고 두드린 흔적과 불 먹은 대석을 비롯하여 숫돌과 두드린 흔적이 확인된 망치 돌로 볼 수 있는 고석(敲石)이 출토되었는데, 이러한 유물들로 볼 때 구산동 마을에서는 철편을 불에 달군 뒤 두드려서 형태를 변형 시키는 정도의 간단한 단야공정이 행해졌을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구산동 유적 집자리에서 출토된 다량의 야요이 계통의 토기는 기원전 2~1세기로 편년되고 있는데, 이전 김해 회현리패총 D구 출토 옹관과 호, 흥동유적 1호 주거지에서 출토된 야요이계 토기 역시 같은 계통 같은 시기의 유물이다. 더구나 회현리 패총 D구의 옹관은 인접한 고인돌과 같은 토층에서 확인되었다. 구산동 고인돌의 축조와 시기가 겹쳐지는 것으로 모두 한국 고인돌의 하한에 해당하는 유물들이었다. 구산동 유적에서 출토된 야요이 계통 토기는 일본 큐슈 북부의 야요이 토기에 비해 한국 무문 토기의 요소가 가미되어 변용된 토기들이 다수를 점하는데, 취사용의 옹(甕)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아 대한해협을 건너와 집단적으로 거주하고 있었던 야요이인의 존재를 보여준다. 무문 토기 요소를 기준으로 집자리의 분포를 살펴보면, 토착의 무문 토기인과 어느 정도 나뉘어 살았을 것으로 보이지만, 아주 근접해 있는 지역이었기 때문에 긴밀한 상호 교류를 통해 공존·공생했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구산동 마을의 주인공들은 대한해협을 건너는 해상 교류를 진행했던 사람들이었다. 이들 왜의 항해자 활용하기 위해 여기에 정주(定住)시켰던 것이었고, 정주하던 왜인들은 청동 또는 철 원료의 확보와 철기 생산 기술의 습득이나 제철·단야 기술자[匠人]의 초빙 등을 위해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가락국 이전 이 시기의 김해에도 사천의 늑도와 같은 해상 교역과 교류의 결절점이 존재하고 있었다고 단언할 수 있다. 구산동 고인돌에서 남쪽 고 김해만을 향해 항해하거나 고 김해만에 접안한 왜인을 비롯한 항해자들이 구산동 고인돌을 향해 들어오던 행로 같은 시설로도 해석될 수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