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400660
한자 鄭顯奭
영어공식명칭 Jeong Hyeonseok
이칭/별칭 보여(保汝),박원(璞園)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남도 김해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백지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17년연표보기 - 정현석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44년 - 정현석 진사시 급제
활동 시기/일시 1870년 - 정현석 김해부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870년~1871년 - 정현석 분산성 수축
활동 시기/일시 1872년 - 정현석 『교방가요』 편찬
추모 시기/일시 1873년 - 부사 통정대부 정현석 영세불망비 건립
몰년 시기/일시 1899년연표보기 - 정현석 사망
출생지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부임|활동지 음성현 - 충청북도 음성군
부임|활동지 고원군 - 함경남도 고원군
부임|활동지 울산부 - 울산광역시
부임|활동지 진주목 - 경상남도 진주시
부임|활동지 김해부 - 경상남도 김해시
부임|활동지 경주부 - 경상북도 경주시
부임|활동지 덕원부 - 함경남도 문천군
묘소|단소 정현석 묘소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초계
대표 관직 김해부사|황해도관찰사

[정의]

조선 후기 경상남도 김해부사를 지낸 문신.

[개설]

정현석(鄭顯奭)[1817~1899]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고원군수(高原郡守)·울산부사·삼가현감·진주목사·김해부사·경주부사·동지돈녕부사·황해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지방관으로 있을 때 선정을 베풀어 여러 차례 국왕의 치하를 받았다.

[가계]

정현석의 본관은 초계이다. 자는 보여(保汝)이고, 호는 박원(璞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진로(鄭鎭魯), 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정홍진(鄭鴻晉), 아버지는 필선(弼善)을 지낸 정기화(鄭琦和)이다. 외할아버지는 권성두(權聖斗)이다. 군수 최종준(崔鍾駿)의 딸과 혼인하였다.

[활동 사항]

정현석은 1817년(순조 17) 지금의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에서 태어났다. 1844년(헌종 10) 진사시에 합격하고 음보(蔭補)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여러 곳의 지방관으로 부임하였는데, 김해에는 1870년(고종 7)부터 1873년(고종 10)까지 3년 6개월간 부사로 재직하였다. 김해는 지리적으로 일본과 가까워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었기 때문에, 정현석은 군향미(軍餉米)를 완비하고, 해산(海山) 방어에 철저히 대비하였다. 또, 1870년 겨울부터 1871년 5월까지 분산성을 수축하였다. 분산성에 있는 자연석 바위 면에는 대원군의 친필 휘호인 ‘만장대(萬仗臺)’와 낙관이 새겨져 있는데, 정현석이 새긴 것이다.

정현석은 그 밖에 1871년(고종 8) 왕명을 받아 김해 사충단을 건립하였다. 1873년(고종 10)에는 폐사된 호계사에 있던 파사석탑을 현재 허황후릉으로 이전하였다. 또 직접 수로왕릉에 나아가 봉심(奉審)하여 봉역(封域)과 각우(閣宇)가 무탈하였고, 김해향교를 중수하였다. 정현석은 김해부사로 재임 당시 정사를 잘 다스려 백성들이 매우 칭송하였으며, 떠날 때 연임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결국 정현석은 6개월 동안 더 직을 유지한 뒤 1873년 돈녕부도정으로 옮겨 갔다. 이후 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고, 1899년(고종 36)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정현석은 1872년 진주 교방에서 연행되는 음악과 춤을 자세히 기록한 『교방가요(敎坊歌謠)』를 편찬하였다. 책의 서문에 “서간 미금당(書干 美錦堂)”이라는 기록이 보이는데, 미금당은 김해부의 관사(官舍) 중 하나로 추정된다. 1894년 황해도관찰사로 부임하였을 때 동학군의 활동상을 일기 형식으로 남긴 『갑오해영비요전말(甲午海營匪擾顚末)』도 전한다. 이밖에 『유융비번사고(有戎備藩司考)』, 『유원고(柔遠考)』, 『여지고(輿地考)』, 『백행록(百行錄)』, 『오총도관견록(五摠圖管見錄)』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고 하지만 현존하지는 않는다.

[묘소]

정현석의 무덤은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에 있다. 부인 최씨와 합장묘이다.

[상훈과 추모]

정현석분산성을 보수한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부사 통정대부 정현석 영세불망비’[1873]가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분성산 정상 충의각(忠義閣)에 있다. 그 밖에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정현석 애민흥학영세불망비’, 울산광역시 북구 대안동에 ‘정현석불망비’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