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400768 |
---|---|
한자 | 金大鳳 |
영어공식명칭 | Kim Daebong |
이칭/별칭 | 포백(抛白)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예술인 |
지역 | 경상남도 김해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정미진 |
출생 시기/일시 | 1908년 2월 - 김대봉 출생 |
---|---|
수학 시기/일시 | 1922년 - 김대봉 김해공립보통학교 졸업 |
수학 시기/일시 | 1923년 - 김대봉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 입학 |
활동 시기/일시 | 1927년 9월 13일 - 김대봉 「농부의 노래」 발표 |
수학 시기/일시 | 1928년 - 김대봉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 졸업 |
수학 시기/일시 | 1929년 - 김대봉 평양의학강습소 입학 |
수학 시기/일시 | 1933년 2월 28일 - 김대봉 평양의학강습소 졸업 |
활동 시기/일시 | 1938년 6월 - 김대봉 『맥』 창간 참여 |
활동 시기/일시 | 1938년 10월 - 김대봉 『무심』 발간 |
몰년 시기/일시 | 1943년 3월 - 김대봉 사망 |
출생지 | 경상남도 김해시 회현동 |
학교|수학지 | 김해공립보통학교 - 경상남도 김해시 호계로500번길 15-15[동상동 534] |
학교|수학지 |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285번길 22[칠산동 360] |
성격 | 의사|문인 |
성별 | 남 |
[정의]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김해 출신의 의사이자 시인.
[개설]
김대봉(金大鳳)[1908~1943]은 1908년 2월 지금의 경상남도 김해시 회현동에서 태어났다. 호는 포백(抛白)이다. 김해, 부산, 서울에서 의사로 활동하는 한편, 시, 소설, 평론 등 다방면의 문학 작품을 발표하였다. 또한 의학 관련 글을 발표하였고, 의학 대중화를 위한 잡지 발간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활동 사항]
김대봉은 1922년에 김해공립보통학교[현 김해동광초등학교]를 졸업하고, 1923년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현 동래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 재학 당시인 1927년 9월 13일 『조선일보』에 「농부의 노래」를 발표하면서 문단 활동을 시작하였다. 1928년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9년 평양의학강습소[평양의학전문학교의 전신]에 입학하여 학업과 문학 활동을 병행하였다. 1933년 졸업 이후 김해와 부산, 서울에서 의사로 활동하였다. 1938년 6월 시 동인지인 『맥』 창간에 참여하여 5집까지 발간하였다. 1938년 10월, 시집 『무심』을 발간하였다. 1939년 경성제국대학교 부속병원 송정외과에 근무하면서 잡지 『대중의학』의 편집을 맡았다. 1939년 경성제국대학교 미생물학교실에서 연구 활동과 작품 활동을 같이 하였다. 1943년 3월 발진티푸스로 인해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대봉은 소설 「연애의 결산」[『신동아』, 1932. 3.], 평론 「신흥 동요에 대한 편견」[『조선일보』, 1931. 11.], 칼럼 「고칠 수 없는 줄 알엇던 꼽추는 어떤 병인가」[『동아일보』, 1938. 5.] 등을 포함하여 시 147편[동시 포함], 단편 소설 4편, 비평 및 수필 23편, 의학 상식 관련 글 11편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1938년 맥사(貘社)에서 출간한 시집 『무심』이 당시 문단에서 주목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