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400184 |
---|---|
한자 | 花木洞 |
영어공식명칭 | Hwamok-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경상남도 김해시 화목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송경진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4월 1일 - 경상남도 김해군 우부면 화목리 개설 |
---|---|
변천 시기/일시 | 1918년 7월 1일 - 경상남도 김해군 우부면 화목리에서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면 화목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31년 11월 1일 -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면 화목리에서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읍 화목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7년 6월 -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읍 화목리에서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읍 화목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1년 7월 1일 -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읍 화목동에서 경상남도 김해시 화목동으로 개편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1년 7월 1일 - 경상남도 김해시 명법동, 이동, 전하동, 풍유동, 화목동을 관할하는 칠산동[행정동] 개설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8년 9월 12일 - 경상남도 김해시의 행정동인 서부동과 칠산동이 칠산서부동으로 통합하여 강동과 명법동, 이동, 전하동, 풍유동, 화목동, 흥동 관할 |
성격 | 법정동 |
면적 | 7.8㎢ |
가구수 | 656가구 |
인구[남/여] | 1,225명[남 675명/여 550명] |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화목동은 김해시의 남쪽에 자리하여 북쪽은 김해시의 명법동과 풍유동, 동쪽과 남쪽은 김해시 흥동과 부산광역시 강서구, 김해시 수가동, 서쪽은 김해시 이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칠산서부동이다.
[명칭 유래]
마을 가운데에 자리한 우물가에 큰 백일홍 고목이 있어 우물은 꽃나무샘이라 부르고, 마을은 화목리(花木里)라 불렀다고 전한다. 또 다른 설은 화목동의 ‘화(花)’와 ‘목(木)’은 모두 ‘남쪽’을 표기하기 위하여 차용한 글자로, 남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지명이라고 한다.
[형성 및 변천]
화목동은 1789년(정조 13) 편찬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 칠산면 화목리로 나온다. 칠산면이 속한 김해 지역은 1895년(고종 32) 23부제가 시행되면서 진주부 김해군 지역이 되었다. 1896년 13도제가 시행되면서 경상남도 김해군의 22개 면 중 하나인 칠산면의 화목리가 되었는데, 1912년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에도 칠산면 화목리로 나와 있다.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개편 때 칠산면과 우부면을 합하여 김해군의 14개 법정면 중 하나인 우부면으로 하고, 칠산면 화목리를 우부면의 법정리인 화목리로 하였다. 1918년 7월 1일 우부면과 좌부면을 합하여 김해면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1931년 11월 1일 김해면이 김해읍으로 승격하였다. 광복 후인 1947년 6월 화목리를 화목동으로 바꾸었다. 1981년 7월 1일 김해읍이 김해군에서 김해시로 분리, 승격하면서 김해시 화목동이 되었다. 이때 행정동인 칠산동이 설치되어 화목동은 풍유동, 명법동, 이동, 화목동, 전하동과 함께 칠산동의 관할이 되었다. 1995년 5월 10일 김해군과 김해시가 통합하였다. 1998년 9월 김해시의 행정동인 칠산동과 서부동이 칠산서부동으로 통합하여 화목동은 풍유동, 명법동, 이동, 흥동, 전하동, 강동과 함께 칠산서부동의 관할이 되었다.
[자연환경]
화목동은 풍유동 앞에서부터 칠산의 동쪽 기슭 사이에 형성된 마을과 해반천 하류 쪽 들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봉곡천과 해반천이 만나 조만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에는 남포어장(南浦漁場)이 있었는데, 김해로 진·출입하기 위해 배를 정박할 정도로 큰 포구였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에 이 일대는 농지로 개간되었으나 홍수가 날 때마다 물에 잠겨서 1960년대에 하천 직강 공사를 실시하고 제방을 쌓았다.
[현황]
2023년 12월 31일 기준 화목동의 면적은 7.8㎢이며, 656가구, 1,225명[남자 675명, 여자 550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김해시 기후변화 홍보 체험관과 칠산참외정보화마을 등이 있으며, 국가유산으로 화목동 유적[신석기 시대 문화층에서부터 고려 후기 문화층, 조선 시대 조개더미로 구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