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400711
한자 任學讚
이칭/별칭 임학찬(任學瓚)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경상남도 김해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전성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0년 11월 19일연표보기 - 임학찬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9년 11월 6일 - 임학찬 경성지방법원 징역 7월 집행 유예 3년 선고
몰년 시기/일시 1952년 7월 19일연표보기 - 임학찬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7년연표보기 - 임학찬 건국포장 추서
출생지 경상남도 김해시 동상동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거주지 - 경상남도 창원시
활동지 창신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활동지 부산실업야학교 - 부산광역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부산실업야학교 교장

[정의]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김해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임학찬(任學讚)[1890~1952]은 1890년 11월 19일 지금의 경상남도 김해시 동상동에서 태어났으며, 기독교인이다. 1919년 파리강화회의를 기회로 한국의 자결과 독립을 전 세계에 선언하기 위한 운동이 미국과 일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학생계와 종교계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었다. 1919년 2월, 이갑성 등에 의해 학생계와 종교계의 연합이 성사되었고, 이를 토대로 3월 1일 고종의 인산일에 만세 시위가 계획되었다. 그리고 독립 선언서에 서명할 민족 대표의 추천과 독립 선언서 배포를 위해 독립운동가들이 서울로부터 각 지역에 비밀리에 파견되었다. 당시 마산 창신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던 임학찬은 민족 대표 추천을 위해 마산에 온 이갑성을 2월 23일에 만났다. 이후 이갑성은 김해 출신으로 지역 기독교계와 친분이 있는 배동석을 다시 파견하였다. 배동석은 2월 26일 마산 등 경상남도 지역을 다녀갔는데, 이때 임학찬을 비롯하여 이상소·손덕우·이승규 등과 함께 독립운동 참여 및 선언서 날인 등을 권유하였다.

3월 1일, 전국적으로 독립 선언서가 배포되는 가운데, 기독교계를 대표하여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학생 이굉상이 이갑성의 부탁으로 대구와 마산에 독립 선언서를 배포하였다. 3월 1일 아침 남대문역을 출발한 이굉상은 대구를 거쳐 마산에서 독립 선언서 200매를 전달하였는데, 전달 장소가 임학찬 집[또는 이상소의 집]이었고, 전달받은 이가 임학찬과 이상소였다. 임학찬은 이상소와 함께 독립 선언서를 자신의 집 벽장 안에 숨겨 두었다가 다음날인 3월 2일 원동상회의 이형재에게 마산부에 배포하도록 전달하였다. 이형재는 다시 김용환에게 전달하였는데, 김용환이 3일 마산부 무학산에서 진행된 고종의 국장 행사장에서 20여 매의 독립 선언서를 군중에게 배포하며 독립 만세를 외쳤다. 경상남도 지역 최초의 시위였다. 임학찬은 일본 경찰에게 체포되어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출판법 및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7월, 집행 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석방 이후 임학찬은 김해청년회에 참여하였다. 1920년 6월 28일에는 조선청년회연합기성회 발기인으로 활동하였으며, 12월 조선청년연합회 제1회 창립총회 때는 김해청년회 대표로 참석하였다. 또한 김해청년회가 합성학교[현 김해합성초등학교]를 전담하게 되면서 학교 수선 및 학생 모집 광고 등을 실행하기 위한 위원회가 결성되었는데, 임학찬도 실행위원으로 참여하였다. 1921년에는 합천 읍내교회의 조사로 청년 계몽 활동에 종사하기도 하였다. 또한 1926년에는 동아일보 김해지국 기자로 임용되는 한편, 김해공립농업학교[현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 기성회의 사무집행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부산에 있었던 일본인 학교인 부산실업야학교[현 동주여자중학교]를 인수하여 1952년 7월 19일 사망할 때까지 교장으로 재임하였다. 1948년 5·10선거를 앞두고 경상남도선거 후보위원으로 선임되기도 하였다.

[상훈과 추모]

임학찬은 1997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참고문헌]
  • 「이계창 외 29인 판결문」(경성지방법원, 1919. 8. 30.)
  • 「이계창 외 29인 판결문」(경성지방법원, 1919. 8. 30.)
  • 「윤익선 외 71인 판결문」(경성복심법원, 1920)
  • 「손병희 외 48인 판결문」(고등법원, 1920)
  • 『독립유공자공훈록』 (국가보훈처, 1987)
  • 『김해시사』 10(김해시사편찬위원회, 2024)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