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400793
한자 政黨
영어공식명칭 Political Parties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김해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용수1

[정의]

경상남도 김해 지역에서 정치적 입장과 이해관계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정권 획득을 목적으로 조직한 단체.

[개설]

김해 지역의 정당들은 한국의 정당사와 마찬가지로 단기간 내에 생성과 소멸이 반복되고, 빈번한 이합집산을 한 역사가 있다.

[김해시 정당의 태동]

대한민국의 「정당법」에 따라 중앙당이 없는 지방 정당은 존재할 수 없어 전국 정당으로 창당한 정당 체제에 따라 지역에서는 지구당 또는 지역 협의회, 지역 위원회 등으로 정치 활동을 한다. 국회 의원은 임기 동안에 지역에 정당 사무소를 유지하고 지속적인 지역 정당 활동을 하게 된다. 무소속 국회 의원도 지역에 사무소를 두고, 의정 활동을 중심으로 정치 활동을 한다.

해방이 되자 인물 중심의 이념적 속성이 강한 정당들이 나타났다. 여운형을 중심으로 건국준비위원회가 수립되고, 전국 단위로 인민위원회가 조직되면서 김해 지역에서는 일제 강점기부터 투쟁해 온 노재갑이 인민위원장을 맡았다. 이후 1948년 단독 정부 수립에 반대하는 중간파들이 총선 참여를 거부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한 이들이 많았고, 또한 정당 정치가 정착되지 못하여 무소속 후보가 훨씬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김해시의 국회 의원 선거와 정당의 활동]

1948년 5월 10일 제1대 국회의원선거에서 경남 17선거구[김해갑]와 18선거구[김해을]에서 모두 무소속이 당선되었다. 「제헌헌법」에는 아직 정당에 대한 규정이나 법규가 없어 제헌 국회 의원들은 소속 정당 없이 정치 활동을 하였다. 1950년 5월의 제2대 국회의원선거부터 후보자가 소속 정당을 밝히며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김해 갑구는 민주국민당의 최원호가, 을구는 무소속의 이종수가 당선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정당이나 단체가 지역 사회에서 뿌리를 내리지 못하였다. 1954년 5월의 제3대 국회의원선거에서는 중앙 정당에서 공천 후보자를 발표하고 등록하는 방식으로 선거를 치르면서 지역에서도 정당 활동이 점차 형식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김해 갑구는 대한국민당의 박재홍이, 을구는 무소속의 이종수가 당선되었다. 1958년 5월의 제4대 국회의원선거에서는 전국적 조직을 가진 자유당과 민주당을 포함한 14개 정당·사회단체가 후보를 출마시켰지만, 김해 갑구와 을구에서는 모두 자유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1950년대 후반으로 가면서 이승만 정권의 안정과 자유당 중심으로 정당 정치가 정착되면서 중앙과 지역 선거에서 모두 자유당이 득세하는 형세로 변화하였다.

제2공화국[1960~1961] 시기인 1960년 7월의 제5대 국회의원선거에서 김해 갑구는 민주당의 최원호 후보, 을구는 무소속 서정원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 하지만 5·16군사쿠데타로 정당이 해체되고, 정치 활동이 중단되면서 정당 활동은 거의 이루어질 수 없었다.

3공화국[1961~1972] 시기인 1963년 11월의 제6대 국회의원선거는 정당 공천이 의무화된 첫 선거였다. 이때부터 김해 지역은 단일 선거구가 되었으며, 제8대 국회의원선거까지 집권 여당 민주공화당의 후보들이 신민당이나 통일사회당의 후보들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제4공화국[1972~1979] 시기인 1973년 2월의 제9대 국회의원선거와 1978년 12월의 제10대 국회의원선거는 하나의 선거구에서 2인의 의원을 선출하는 중선거구제 방식이 채택되었다. 그 결과 민주공화당과 신민당 소속의 후보들이 각각 1명씩 당선되었다.

제5공화국[1979~1987] 시기인 1981년 3월의 제11대 국회의원선거는 1980년 5·17 계엄 확대 조치로 권력을 잡은 신군부가 창당한 민주정의당이 여당으로 선출되었다. 김해 지역의 정당들도 중앙 정계와 마찬가지로 1981년에는 민주정의당과 야당인 민주한국당으로 후보들이 활동하였고, 1985년에는 야당 의석이 신민당으로 바뀌면서 신민당이 지역의 야당을 주도하였다.

제6공화국[1987~2004] 시기인 1987년에는 개헌으로 대통령 직선제가, 1988년 4월의 제13대 국회의원선거는 소선거구제가 도입되었다. 1991년에는 지방 의원 선거가, 1995년에는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가 실시되면서 본격적인 민선 지방 자치 시대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지역주의 정치가 자리 잡으면서 부산·경남 지역은 통일민주당이 표를 휩쓸었다. 김해 지역에서 제13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가, 1992년 3월의 제14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민자당 후보가, 1996년 4월의 제15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가, 2000년 4월의 제16대 국회의원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가 모두 당선되었다. 이들은 비록 당명(黨名)은 다르지만 지역주의를 기반으로 한 보수 정당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제6공화국 때 김해 지역 정당은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가진다. 먼저, 대통령 직선제로 시민들이 ‘어느 대통령’, ‘무슨 당’이라는 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다음으로, 민주주의의 중요한 제도인 지방 자치의 경험, 5공 비리와 광주 민주화 운동 청문회 등이 TV 화면을 통해 방영되면서 시민들의 정치에 관한 관심과 의식이 매우 높아졌다. 하지만 1991년 2월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창당되면서 김해 지역에서 야당 활동의 공백이 생기게 되었다. 그다음으로, 1997년 12월 평화적이고 수평적인 정권 교체는 김해 시민들의 표심, 민심에 지각 변동을 일으켰다. 2002년 김해시장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의 후보가 42%를 득표하였고, 12월 19일의 대통령 선거에서 김해 출신의 노무현을 대통령으로 당선시켰다. 이후 김해 지역에서는 이전과 달리 민주당 지지 성향이 높아졌고, 보수 일색의 영남 지역에서 민주당이 균형추 구실을 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신생 정당이지만 민주노동당의 출현도 주목된다. 민주노동당의 중앙당은 2000년 1월 발족하여 ‘일하는 사람들의 희망’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의 노동조합, 진보적 시민 사회단체 등의 지지와 지원을 기반으로 출발하였다. 김해 지역의 민주노동당은 2001년에 지역에서 노동 운동 등에 참여한 사람들이 민주노동당 창원지역위원회의 김해분회로 활동을 시작하였다[분회장 김근태]. 이후 2003년부터 1,000명의 당원으로 정식 민주노동당 김해위원회의 활동을 하였고, 2004년 총선에서 김해을 선거구에 김근태 위원장이 출마하여 민주노동당의 존재를 알렸다.

[김해시 정당 정치 활동의 변화]

2002년 12월 19일 제16대 대통령선거에서 노무현 후보가 당선된 것은 이후 김해 지역의 표심에 감성적이고 심리적인 영향이 컸다. 2004년 4월의 제17대 국회의원선거는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건’의 가장 큰 변수가 되었다. 김해 지역의 선거구는 갑과 을로 나뉘었으며, 영남 지역에서 유일하게 2개 선거구에서 열린우리당 후보가 동반 당선되었다. 2008년 4월의 제18대 국회의원선거에서 김해 갑은 한나라당 후보가, 김해 을은 열린우리당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 2012년 4월의 제19대 국회의원선거에서도 새누리당 후보와 민주통합당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 하지만 2016년 4월의 제20대 국회의원선거와 2020년 4월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18세 이상 국민에게 선거권을 주었고 연동형 비례 대표제가 적용된 제21대 국회의원선거에서는 민주당으로 출마한 2명의 후보가 모두 당선되었다.

2002년 노무현이 제16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후부터 김해 시민들 사이에는 그동안 한나라당에 쏠려 있던 민심이 민주당 쪽으로 쏠리는 계기가 되었고, 김해 지역은 영남에서 독특하게 민주당의 표심이 국민의힘을 앞서는 지역으로 변화되었다.

[참고문헌]
  • 『김해시사』 7(김해시사편찬위원회, 2024)
  • 경상남도선거관리위원회(https://gn.nec.go.kr)
  • 경상남도의회(https://council.gyeongnam.go.kr)
  • 국민의힘 경상남도당(http://www.gyeongnampeoplepowerparty.kr)
  • 김해시의회(https://council.gimhae.go.kr)
  • 더불어민주당 경상남도당(https://www.minjoogn.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