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 운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400887
한자 農民 運動
영어공식명칭 Farmer Movement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김해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하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4년 2월 - 김해노농연합회 창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4년 4월 - 진영소작인회 조직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6년 3월 - 김해농민연맹 설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31년 10월연표보기 - 김해농민조합 설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32년연표보기 - 김해농민조합 해체

[정의]

일제 강점기 김해 지역 농민들이 일본인 대지주의 경제적 수탈에 저항한 사회 운동.

[개설]

개항 이후 조선으로 건너와 부산과 마산 등 도시 지역에 정착한 일본인들은 농업 경영을 목적으로 경상남도 등 다른 지역의 토지에도 투자하였다. 구포·김해·밀양·양산·영산 등 낙동강 유역과 언양·금산 등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그중에 낙동강 하류 지대인 김해에 집중되었다. 소유지 면적은 약 49.5㎢로, 일본인 중심의 도시 지역을 제외하면 경상남도에서 가장 넓은 면적이었다. 일본인 무라이 기치베[村井吉兵衛]는 김해군 진영에 인근 2개 면을 합친 규모의 대농장을 경영하기도 하였다. 김해는 일본인 중심 도시인 부산과 마산의 배후지로서, 일제 강점기 대표적인 식민지 농업 지역이었다고 할 수 있다.

김해군에 대농장을 건설한 일본인 지주들은 본국의 일본인들을 이주시키거나 조선인 농민을 고용해 소작을 시키는 방식으로 경영하였다. 김해군의 자작지와 소작지 비율을 보면, 식민지 초기인 1913년 자작지 비율이 35%인 것에 비해 소작지는 65%로 경상남도의 평균인 59%보다 높았다. 1930년이 되면서 소작지 비율이 71%로 높아졌으며, 그만큼 자작농이 몰락하였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일본인의 토지 겸병이 진행되는 가운데 수탈적인 소작제가 강화되어 갔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일본인 대지주에게 수탈당하는 소작농들이 늘어나자, 소작농들의 소작 쟁의를 지도할 농민 단체가 결성되기 시작하였다. 1924년 2월 읍내 지역 농민과 농촌 노동자의 연합 단체로 김해노농연합회를 창립한 데에 이어 1924년 4월에 진영 지역에서 진영소작인회가 조직되었다. 이들 단체는 소작료 조정 등 소작농의 이익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각 동리에 소작인 단체를 조직하고 소작인 대회를 개최하는가 하면 노동 야학을 개설해 소작인들을 계몽하는 등 농민 운동을 주도하였다. 1926년 3월 김해농민연맹으로 조직을 개편한 김해노농연합회는 조직의 영향력을 군 전체로 확대하고자 노력하였다. 각 면에 소작인 단체를 조직하도록 독려하는 한편 집행 위원을 각 면으로 파견해 소작 문제를 조사하도록 하였고, 각지에서 전개되는 소작 쟁의를 조정하도록 간부를 파견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 1929년경 회원 550여 명에 산하에 11개 단체를 두는 등 조직을 확대하였다. 하지만 진영 지역까지는 포함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냈다.

이러한 농민 단체들이 조직되었음에도 1920년대 말 농민들의 생활은 더욱더 피폐해졌다. 공황을 비롯해 수해와 한해 등 자연재해가 농촌 경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상황에서 농민들은 일본인 지주의 횡포, 소작료 인상 및 변경, 수리 조합비 전가, 관리인 중간 착취 등에 다양한 형태로 저항하였다. 1931년 10월 김해농민연맹은 농민 문제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김해농민조합으로 전환하였다. 김해농민조합은 위원장과 서기장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 조직은 물론 김해군 전체에 지부와 반을 구성하고, 청년부·소년부·부인부·소비조합부 등의 분과 조직을 설치하려고 하였다. 동시에 소작료·소작권 문제, 경작권의 확립, 농번기 부역 문제 등 당시 농민들이 당면한 실질적인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간다는 기본 방침을 세웠다. 1931년 전국적으로 크게 주목받은 하자마농장[迫間農場] 소작쟁의 사건 때는 김해농민조합 간부들이 적극적으로 관여하며 농민들의 투쟁을 지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32년 삼일절과 메이데이 등을 앞두고 간부들의 검거와 석방이 이어지다가, 결국에는 경남적색농민조합 동부위원회 사건이 일어나면서 독자적인 활동을 이어 가지 못하였다. 김해농민조합은 1932년 가을에 결국 해체되었다. 이후에 김해농민조합을 재건하려는 움직임도 있었으나, 주도하던 인사들이 일제 경찰에 검거되면서 실패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