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김해기옥섬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401319
한자 贈金海妓玉纖纖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상남도 김해시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이영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318년 - 전녹생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375년 - 전녹생 사망
성격 한시
작가 전녹생

[정의]

고려 후기 재상 전녹생이 경상남도 김해의 연자루에서 노닐며 기생 옥섬섬에게 지어 준 한시.

[개설]

김해의 기녀 옥섬섬(玉纖纖)은 거문고를 잘 탔다. 그러므로 재상인 야은 전녹생(田祿生)[1318~1375]이 계림판관(雞林判官)으로 있을 때에 옥섬섬이 사랑스러워 「증김해기옥섬섬(贈金海妓玉纖纖)」이라는 7언 절구의 시 한 수를 지어 주었다. 10여 년 뒤에 전녹생이 합포(合浦)에 진무(鎭撫)하러 왔다가, 이미 늙은 옥섬섬을 불러 옆에 두고는 날마다 거문고를 타게 했다고 한다. 연자루(燕子樓) 누각에 걸어 놓은 시 중에도 그 사실을 사용한 것들이 많이 있다.

[내용]

「김해 기생 옥섬섬에게 주다(贈金海妓玉纖纖)」

해상선산칠점청(海上仙山七點靑)[바닷가 신선이 사는 칠점산은 푸르고]

금중소월일륜명(琴中素月一輪明)[거문고 속엔 흰 달이 두둥실 밝았네]

세간불유섬섬수(世間不有纖纖手)[세간에 옥섬섬의 손이 없었다면]

수긍능탄태고정(誰肯能彈太古情)[뉘라 능히 태곳적 옛 정을 연주할 수 있으랴]

기구의 칠점산(七點山)은 현재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김해국제공항 내에 있는 산이다. 본래 일곱 봉우리의 산이었는데 일제 강점기에 낙동강 제방 축조 공사와 김해공항 건설에 세 개의 봉우리가 삭평(削平)되고, 광복 후 김해국제공항 부지에 들어가는 바람에 또 세 개의 봉우리가 삭평되고, 현재는 한 개 봉우리의 서쪽 끝자락 일부분만 남았다. 「증김해기옥섬섬」은 『포은집(圃隱集)』·『양촌집(陽村集)』·『여지승람(輿地勝覽)』·『분성지(盆城志)』·『해동잡록(海東雜錄)』·『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몽헌필담(夢軒筆譚)』에 수록되어 있다. 『몽헌필담』에 이르기를 “야은이 거문고 음률에 대해서 이해가 깊어 시어(詩語)가 맑고 옛 정취가 빼어났다. 그래서 포은이나 양촌 역시 서로 이어 창화(唱和)하면서 칭탄하고 부러워하기를 마지않았으니, 그 존경하고 사모한 뜻을 볼 수가 있다.”고 하였다.

[의의와 평가]

「증김해기옥섬섬」연자루와 기생 옥섬섬 등 김해의 대표적인 정경과 일화의 증거가 되는 시로, 문학성과 역사성을 증명하면서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사적인 의미도 지닌 시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