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400226
영어공식명칭 Tunnel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김해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태윤

[정의]

경상남도 김해 지역에서 도로, 철도 등을 연결하기 위하여 산지 등을 통과하도록 만든 통로.

[개설]

터널은 산이나 바다 밑을 인공적으로 뚫어서 만든 도로·철도·지하철 등의 교통 시설과 수로 등에 설치하는 시설을 말한다. 김해시는 지리적으로 태백산맥의 말단부에 자리하여 북부와 남서부는 험한 산지가 발달하였고, 남부와 남동부는 산지와 하천 발달에 의한 평야가 발달하였다. 특히 김해시의 동서남북 곳곳에 산지가 자리 잡아 다른 지역에 비해 터널이 많은 편이다.

2022년 12월 기준 우리나라의 도로에 설치된 터널은 3,732개로, 총연장은 250만 1718.1m이다. 10년 전인 2012년의 터널 수 1,578개, 총연장 114만 8855.1m에 비하면 터널은 2,154개, 총연장은 135만 2863m가 증가하였다. 경상남도에는 386개의 터널이 있다. 이는 전국 대비 10.3%이고 16개 시도 중에서 경기도, 강원도, 경상북도 다음으로 많다.

[김해 지역 터널 현황]

김해시에 있는 도로 터널은 총 63개로, 총연장은 6만 5313.1m이다. 남해고속도로[고속국도 제10호선]와 남해제3고속도로지선[고속국도 제105호선], 중앙고속도로[고속국도 제55호선]와 중앙고속도로지선[고속국도 제551호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고속국도 제600호선] 등의 고속 도로에 45개가 있고, 총연장 역시 5만 2934m로 가장 길다. 국도 제14호선에는 6개의 터널이 있으며, 총연장은 4,732m이다.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에는 2개의 터널이 있으며, 총연장은 1,620m이다. 지방도 제1030호선에는 5개의 터널이 있으며, 총연장은 4,729m이다. 시도 터널은 5개가 있고, 총연장은 1,298.1m이다. 김해 지역의 터널 중 연장이 가장 긴 것은 무척산터널로 4,297m이고, 굴암터널이 3,308m, 무척산터널이 2,030m 순으로 길다.

[김해 지역 주요 터널]

1. 고속 국도 터널

김해시를 통과하는 고속 국도 터널은 남해고속도로남해제3고속도로지선,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지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에 건립되어 있다. 남해고속도로에는 편도 4차선의 김해터널[부산, 순천 방향]이 있는데, 2001년 남해고속도로 확장 시 준공되었다. 남해제3고속도로지선에는 편도 2차선의 관동터널[김해, 신항 방향], 굴암터널[신항], 장유1터널·장유2터널[김해, 신항 방향]이 있다. 모두 2017년 남해제3고속도로지선이 개통할 때 준공되었다. 중앙고속도로에는 무척산터널[상행, 하행], 상동1터널·상동2터널[상행, 하행] 등 12개의 터널이 있는데 모두 편도 2차선으로 2006년 중앙고속도로 개통 시 준공되었다. 중앙고속도로지선에는 편도 2차선의 대동1터널·대동2터널·대동3터널[김해, 양산 방향]이 있는데 2014년에 준공되었다.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에는 신어산터널[기장, 창원 방향], 한림1터널[기장, 창원 방향] 등 18개의 터널이 있으며, 모두 2017년에 준공되었다. 김해 지역에서는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지나가는 곳에 험준한 산지가 많아서 터널이 가장 많이 건립되어 있고, 길이도 매우 길다.

2. 일반 국도, 국가 지원 지방도, 지방도, 시도 터널

김해시를 통과하는 일반 국도 터널로는 국도 제14호선의 편도 2차선 김해1터널·김해2터널·김해3터널[상행, 하행]이 있다. 모두 2007년 국도 제14호선 확장 시 준공되었다. 국가 지원 지방도 터널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의 편도 2차선 나전터널[매리, 상나전 방향]로 2018년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이 확장 개통 시 준공되었다. 지방도 터널로는 지방도 제1030호선의 대청터널[부산, 창원 방향], 불모산터널[창원 방향]이 있으며, 둘 다 편도 2차선으로 준공되었다. 시도 터널로는 구산터널, 김해터널, 장유터널 등이 있다. 고속 도로상에 있는 터널을 제외하고는 지방도 제1030호선에 설치된 불모산터널이 2,146m로 가장 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