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400573
한자 金海府 善政碑群
영어공식명칭 Stone Monuments for Remembrance of Gimhae Department
이칭/별칭 김해 비석군,김해 선정비군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남도 김해시 분성로 225[외동 1261-4]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양화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이전 시기/일시 1990년 10월 - 김해부 선정비군 중 14기 현 위치로 이건
이전 시기/일시 2008년 - 김해부 선정비군 중 1기 현 위치로 이건[2008]
이전 시기/일시 2016년 - 김해부 선정비군 중 1기 현 위치로 이건[2016]
현 소재지 김햅무 선정비군 소재지 - 경상남도 김해시 분성로 225[외동 1261-4]지도보기
성격 선정비군
양식 일반형 석비
관련 인물 이형만|정익|황호|류엄|조집|김한익|허습|김성|정현석(鄭顯奭)|변국한|정숙조|이용교|박청덕|정광제
재질 석재|동재
크기(높이, 너비, 두께) 77㎝~195㎝[전체 높이]|29㎝~86㎝[너비]|4.3㎝~29㎝[폭]
관리자 김해문화원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 외동에 있는 조선 후기 김해부 지방 관리들에 대한 선정비군.

[건립 경위]

김해부 선정비군(金海府 善政碑群)은 1642년(인조 20)~1901년(고종 38) 조선 시대 행정 구역이자 지방 관청인 김해부(金海府)에 근무하였던 부사와 병마절도사, 영장 등 지방 관리들이 임무를 마치고 돌아갈 때, 백성들이 이들의 선정과 은덕, 공을 기리기 위해 세웠던 생사당(生祠堂), 휼군(恤軍), 거사(去思), 영세불망(永世不忘) 등의 선정비(善政碑)를 모아 놓은 유적이다. 원래 김해시 곳곳에 흩어져 있었는데, 1990년 10월에 14기, 2008년과 2016년에 각 1기씩을 현재 위치로 이건하여 총 16기가 모여 비석군을 이루게 되었다.

[위치]

김해부 선정비군김해시 외동 1261-4번지에 있다. 김해문화원과 외동치안센터 사이에 나란히 서 있다. 서쪽으로는 김해나비공원이 조성되어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형태]

비석들은 규모와 형태가 다양하다. 14기는 비신만 세운 형태인데, 일부 비신은 훼손되거나 없어진 부분이 있어 정확한 규모를 알 수 없다. 또 일부 비신은 풍화 작용과 마모로 인하여 비명이 잘 안 보이며, 일부는 보수한 흔적도 있다. 김해부 선정비군 중 황호휼군거사비는 이수(螭首)를 갖춘 형태이다. 박동상청덕선정비는 비신과 비두가 일체화된 형태인데, 비좌는 이건 당시 2단의 화강암으로 제작하였다. 박동상청덕선정비는 동비(銅碑)로 제작되었고, 나머지 15기는 석비(石碑)이다. 선정비군의 규모는 전체 높이 77㎝~195㎝, 너비 29㎝~86㎝, 폭 4.3㎝~29㎝로 다양하다.

1. 부사통정대부이공형만생사당비(府使通政大夫李公衡萬生祠堂碑): 전체 높이 195㎝, 너비 83㎝, 폭 29㎝이다.

2. 병마절도사정공익휼군하사비(兵馬節度使鄭公榏恤軍下士碑): 잔존 높이 145㎝, 너비 86㎝, 폭 20㎝이다.

3. 부사통정대부이공홍비(府使通政大夫李公泓碑): 잔존 높이 77㎝, 너비 72㎝, 폭 19㎝이다.

4. 부사통정대부황공호유애거사비(府使通政大夫黃公鎬遺愛去思碑): 전체 높이 159㎝, 너비 70㎝, 폭 21㎝이다.

5. 영장황후호휼군거사비(營將黃侯鎬恤軍去思碑): 전체 높이 146㎝, 너비 44㎝, 폭 13㎝이며, 이수의 규모는 높이 50㎝, 너비 58㎝, 폭 16㎝이다. 훼손으로 인해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다.

6. 부사통정대부류공엄휼민거사비(府使通政大夫柳公曮恤民去思碑): 전체 높이 103㎝, 너비 37㎝, 폭 11㎝이다.

7. 부사가선대부조공집만세불망비(府使嘉善大夫趙公㠎萬世不忘碑): 전체 높이 130㎝, 너비 50㎝, 폭 20㎝이다.

8. 부사김공한익불망비(府使金公漢益不忘碑): 전체 높이 83㎝, 너비 33㎝, 폭 11㎝이다.

9. 부사통정대부허공습영세불망비(府使通政大夫許公熠永世不忘碑): 전체 높이 126㎝, 너비 53㎝, 폭 20㎝이다.

10. 부사통정대부김공성선정거사비(府使通政大夫金公城善政去思碑): 전체 높이 162㎝, 너비 70㎝, 폭 17㎝이다.

11. 부사통정대부정후현석영세불망비(府使通政大夫鄭候顯奭永世不忘碑): 전체 높이 134㎝, 너비 52㎝, 폭 24㎝이다.

12. 부사통정대부변공국한유애선정비(府使通政大夫邊公國翰遺愛善政碑): 전체 높이 172㎝, 너비 60㎝, 폭 18㎝이다.

13. 행부사정공숙조선정비(行府使鄭公䎘朝善政碑): 전체 높이 103㎝, 너비 43㎝, 폭 15㎝이다.

14. 행군수이후용교영세불망비(行郡守李候瑢敎永世不忘碑): 전체 높이 142㎝, 너비 53㎝, 폭 22㎝이다.

15. 부사통정대부박공청덕선정비(府使通政大夫朴公淸德善政碑): 전체 높이 123㎝, 너비 29㎝, 폭 4.3㎝이며, 비두의 규모는 높이 27㎝, 너비 39㎝, 폭 5.5㎝이다. 비좌는 2단의 화강암인데, 상단의 규모는 높이 60㎝, 너비 37㎝, 폭 36㎝이며, 하단의 규모는 높이 48㎝, 너비 90㎝, 폭 60㎝이다. 최근에 이건하였다.

16. 부사정후광제선정애민비(府使鄭侯匡濟善政愛民碑): 전체 높이 132㎝, 너비 45㎝, 폭 6.5㎝이다. 자연석을 전면과 측면 일부만 다듬어 비로 만들었는데, 자연석의 흔적이 비석의 후면에서 확인되었다.

[금석문]

1. 부사통정대부이공형만생사당비: 전면에 ‘부사통정대부이공형만생사당비 기원후 정축오월 일립(府使通政大夫李公衡萬生祠堂碑 紀元後 丁丑五月 日立)’이라고 새겨져 있다.

2. 병마절도사정공익휼군하사비: ‘병마절도사정공익휼군하사□(兵馬節度使鄭公榏恤軍下士□)’라고 새겨져 있는데, 하부가 훼손되어 정확한 비문을 확인할 수 없다.

3. 부사통정대부이공홍비: ‘부사통정대부이공홍□□□□□ 계유유월도임을해십일월과귀(府使通政大夫李公泓□□□□□ 癸酉六月到任乙亥十一月瓜歸)’라고 새겨져 있는데, 하부가 훼손되어 정확한 비문을 확인할 수 없다.

4. 부사통정대부황공호유애거사비: ‘부사통정대부황공호유애거사비 계미시월도임병무이월과귀(府使通政大夫黃公鎬遺愛去思碑 癸未十月到任丙戊二月瓜歸)’라고 새겨져 있다. 임기를 마치고 김해부를 떠나는 내용과 비를 만든 연도를 새겨 놓았다.

5. 영장황후호휼군거사비: 전면에 ‘영장황후호휼군거사비 병무사월립(營將黃侯鎬恤軍去思碑 丙戊四月立)’이라고 새겨져 있어 비석을 세운 연도가 확인된다.

6. 부사통정대부유공엄휼민거사비: 전면에 ‘부사통정대부유공엄휼민거사비 연름보막 인설경거 민심뢰안 경중설산. 도광이십사년 갑진칠월 일립(府使通政大夫柳公曮恤民去思碑 捐廩補漠 忍說徑去 民心顂安 輕重雪山. 道光二十四年 甲辰七月 日立)’이라 새겨져 있어, 유엄의 선정 내용과 비를 세운 날짜를 확인할 수 있다.

7. 부사가선대부조공집만세불망비: 전면에 ‘부사가선대부조공집만세불망비 신축도임 계묘과귀. 병오삼월 입(府使嘉善大夫趙公㠎萬世不忘碑 辛丑到任 癸卯瓜歸. 丙午三月 立)’이라 새겨져 있어, 조집의 임기에 따른 선정 비명과 비석을 세운 연도를 알 수 있다.

8. 부사김공한익불망비: ‘부사김공한익불망비 □□함연 환연개관 순통견채 합경연안 도광삼십년경무팔월 일립(府使金公漢益不忘碑 □□涵燕 煥然改觀 巡統蠲債 闔境捐安 道光三十年庚戊八月 日立)’이라 새겨져 있는데, 일부 글자가 훼손되어 알 수 없다.

9. 부사통정대부허공습영세불망비: 전면에 ‘부사통정대부허공습영세불망비 사재교막 제완교역 혜파여송 견석기적 연봉주궁 요퇴로궁 정저수포 거사도도 도감 허윤 감동 구영진 함풍칠년정사정월 일도임동년십이월 일이배 기미십이월 일립(府使通政大夫許公熠永世不忘碑 査灾橋漠 堤完橋役 惠播輿頌 堅石紀績 捐俸賙窮 遼退勞躬 政著繡褒 去思滔滔 都監 許崙 監董 具英珍 咸豊七年丁巳正月 日到任同年十二月 日移拜 己未十二月 日立)’이라 새겨져 있다. 허습의 선정 내용과 도감, 감동 등의 관련자 이름, 그리고 선정비를 세운 날짜를 알 수 있다.

10. 부사통정대부김공성선정거사비: 전면에 ‘부사통정대부김공성선정거사비 병오□□ □일립(府使通政大夫金公城善政去思碑 丙午□□ □日立)’이라 새겨져 있는데, 비를 세운 날짜 부분이 마모되었다.

11. 부사통정대부정후현석영세불망비: ‘부사통정대부정후현석영세불망비 사재거관 연봉보막 견역멸세 편석감어 일념애민 삼백기민 시혜여춘 촌침조신 상지십일년 갑무삼월초육일부내육리립 수임허연 유사 손상조 공임 구경엽 도감 박동□ 두인 김정환 안□ 상 색리 배겸익 허석용 우문철 김상곤 한응두(府使通政大夫鄭候顯奭永世不忘碑 四載居官 捐俸補瘼 蠲役滅稅 片石堪語 一念愛民 三百其緍 施惠如春 寸忱粗伸 上之十一年 甲戊三月初六日府內六里立 首任許演 有司 孫翔祚 公任 具敬曄 都監 朴東□ 頭人 金鼎煥 安□ 祥 色吏 裵兼翼 許碩溶 禹文哲 金象坤 韓應斗)’라 새겨져 있다. 정현석(鄭顯奭)의 선정 내용과 비석을 세운 연도, 도감 등 관련 인물의 이름을 새겨 놓았다.

12. 부사통정대부변공국한유애선정비: ‘부사통정대부변공국한유애선정비’만 새겨져 있다.

13. 행부사정공숙조선정비: ‘행부사정공숙조선정비 조폐거의 재민안연 휼궁연품 근가벽천 광서삼년정축칠월 일립. 이 배헌정 감동유학 홍종협 교 구경엽(行府使鄭公䎘朝善政碑 漕弊祛矣 灾民晏然 恤窮捐稟 勤稼闢阡 光緖三年丁丑七月 日立. 吏 裵憲政 監董幼學 洪鍾協 校 具景燁)’이라 하여, 정숙조의 선정 내용과 비를 세운 연도, 관련된 사람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14. 행군수이후용교영세불망비: ‘행군수이후용교영세불망비 월옹현주 성탄성사 과농장유 일심치 합포구적 직근공적 즐구파양 천사불망. 광무오년신축칠월이십삼일립 유사 송유완 허□ 조희웅 송의학 노상설 이기화 제명 노상직 제명 박인호(行郡守李候瑢敎永世不忘碑 月翁賢胄 誠殫聖祀 課農奬儒 一心治 合浦舊績 職謹公糴 櫛垢爬痒 千禩不忘. 光武五年辛丑七月二十三日立 有司 宋有完 許□ 曺熙雄 宋義學 盧相說 李起華 制銘 盧相稷 題銘朴寅昊)’라 하여, 이용교의 선정 내용과 비를 세운 연도, 관련된 사람 이름이 써 있다.

15. 부사통정대부박공청덕선정비: ‘부사통정대부박공청덕선정비 공휘동상 옹정갑진삼월립(府使通政大夫朴公淸德善政碑 公諱東相 雍正甲辰三月日)’이라고 새겨져 있다. 내용은 박청덕의 선정 내용과 비를 세운 연도이며, 비신의 아래에는 ‘선정동비이건기(善政銅碑移建記)’라 하여 비석 제작 의도와 이건 내용을 새겨 넣었다.

16. 부사정후광제선정애민비: 전면에 ‘부사정후광제선정애민비 임신정월일(府使鄭侯匡濟善政愛民碑 壬申正月日)’이라 하여 비명과 비를 세운 연도가 새겨져 있다.

[현황]

김해부 선정비군은 김해나비공원과 김해문화원의 경계 부분에 나란하게 서 있으며, 김해문화원이 관리하고 있다. 1990년에 이건한 14기에 대해서는 철제 알림판이 세워져 있어 비명 등을 알 수 있다. 나머지 2기 부사통정대부박공청덕선정비와 부사정후광제선정애민비의 자료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의의와 평가]

조선 지방관의 치적 및 선정에 대한 비석군이 문화와 휴식의 공간에 모여 있다. 김해부 선정비군은 김해 시민을 위한 교육 자료이자 역사의 장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