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401214 |
---|---|
한자 | 堂山祭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상남도 김해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성진석 |
[정의]
경상남도 김해 지역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의.
[개설]
당산제(堂山祭)는 마을이라는 공동체를 단위로 하는 신앙으로서 마을을 지키는 당산나무를 신령스러운 존재로 모시고 제를 올리는 의식이다. 김해 지역에서 당산제는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바라며, 마을 단위로 지연적 결속과 더불어 마을 공동체의 형성과 유지에도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하고 있다.
[마을별 특징 및 변천]
김해 지역에서는 마을의 무사평안과 풍년을 위해서 마을 입구의 오래된 당산나무에서 제의를 지낸다. 마을 사람들이 의논하여 당산제에 소요되는 비용은 각 가정에서 각출하고 제관을 선정하여 제일을 택일하는데, 대개 보름날 새벽에 많이 지낸다. 제관은 가정에 임산부나 갓난아기가 없고, 상주가 아닌 사람이 대상이 되며, 제관으로 선임이 되면 목욕재계하고 정성을 들인다. 김해 지역의 당산제는 마을마다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데 마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형식이 현대에 맞게끔 변화하고 있다.
김해시 생림면 마사리 마사마을 당산제는 제를 지낼 때 제를 지내는 사람만 당산나무 근처에 갈 수 있으며 제를 지낸 후에는 마을 사람들이 모두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김해시 진영읍 진영리 부곡1마을에서는 귀신을 내쫓는 회나무를 당산나무로 모신다. 당산제는 산신제와 할매제 할배제의 삼신제로 치루어진다. 당산제가 끝나면 마을 사람들은 음식을 나누고 먹고 이때부터 풍물패가 마을의 집집마다 돌며 쇠를 치는데 쇠를 울리면 액운이 없어지고 한 해의 운수가 좋다고 한다. 풍물패가 지날 때 그 집에서는 곡식 등의 현물 또는 사례비를 주는데 이것을 모아 당산제의 제비로 충당한다. 현재는 이전과 같이 대를 잡아 제주(祭主)를 뽑거나 당산제를 올리지는 않지만, 마을 이장은 정월 초하룻날과 마을의 큰 행사 날이면 간단한 음식을 차리고 제를 지낸다.
김해시 한림면 안하리 안하마을에서 당산나무는 즐밤나무 두 그루인데, ‘당산할매’, ‘당산할배’라 부른다. 안하마을의 제관은 가정에서 부정한 일이 없는 사람으로 선정해야 하며 만약 제관이 부정하면, 호랑이 새끼가 나와 제관을 잡아가거나 제관이 새까맣게 타 죽는다고 한다.
김해시 한림면 신천리 망천마을에서는 당산제를 대보름 0시 정각에 지내며 모시는 신은 ‘당산할매’라고 칭하고 사람들이 무사하고 우환이 없기를 기원한다. 망천마을에는 원래 당산나무가 없이 담만 있었으나 약 50년 전에 동제당을 지었다. 제관의 선정은 본래는 무당이 대를 잡아 대가 꽂히는 집에서 제관을 하였으나 제관으로 임명되면 화장실에 갔다 올 때마다 찬물로 목욕하고 속옷을 갈아입는 것을 비롯하여 금기사항이 많아 대가 꽂히지 않기를 간절히 희망했다. 약 20년 전부터 망천마을에서는 이장이 제를 지내고 있다. 당산제에 소요되는 비용은 본래 반장이 쌀이나 곡식을 거두어서 지냈으나 현재는 주민을 대상으로 각출하여 비용을 마련하며 제물은 보통 당산제 전날 오후 2시 무렵 김해장에서 구입한다. 그리고 장을 보아 오면 제수 준비는 제관 부인이 장만한다. 당산제의 절차는 정월 열나흗날 2시 무렵 제당에 금줄을 치고 정토를 뿌려 외인의 출입을 금하였다. 제관 역시도 출입을 삼갔으나 지금은 많이 생략되어 동제 전날에 이장들이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고 청소한다. 제관이 미리 상을 차려 준비하고 있다가 정월 대보름 0시에 정확하게 지내며 약 1시간이 소요된다. 제의가 끝나면 마을 성씨가 적힌 한지를 소지한다. 이때 마음속으로 마을 사람들의 건강과 만사형통을 기원한다. 소지를 마친 후 한지에 제물을 조금씩 떼어 담아 걸반상을 마련하여 제당 담 위에 올려 둔다. 이후 제관들이 음복한다. 마을 주민들은 다음날 아침에 회관에 모여 음식을 나누어 먹으면서 담소를 나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