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읍 만세운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400411
한자 金海邑 萬歲運動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경상남도 김해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하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19년 3월 29일연표보기 - 제1차 김해읍 만세운동 발생
발생|시작 시기/일시 1919년 3월 30일연표보기 - 제2차 김해읍 만세운동 발생
발생|시작 시기/일시 1919년 4월 2일연표보기 - 제3차 김해읍 만세운동 발생
발생|시작 시기/일시 1919년 4월 16일연표보기 - 제4차 김해읍 만세운동 발생
발생|시작 장소 김해장터 - 경상남도 김해시 구지로180번길 31-4[동상동 910]지도보기
성격 독립운동
관련 인물/단체 구명순|박덕수|배덕수|송세탁|최덕관|최계우|김석암|조병중|송상진|허병

[정의]

1919년 3월~4월 경상남도 김해 읍내에서 일어난 독립운동.

[역사적 배경]

1910년대에 국내외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던 독립운동은 1919년에 들어서 3·1운동이라는 하나의 결집된 형태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1917년 러시아혁명에 이어 1918년 발표된 윌슨 미국 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 등이 영향을 미쳤는데, 국내에서는 1919년 1월 초부터 천도교, 기독교, 불교 그리고 학생 대표들이 비밀리에 모임을 가지며 대대적인 만세 시위 계획을 마련하였다.

[경과]

김해 지역 만세 시위는 1919년 3월 말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3월 13일과 28일 김해 읍내를 중심으로 시위가 계획되기는 하였으나, 사전에 발각되어 실행되지 못하였다. 29일 밤에는 읍내에서 소규모 시위가 벌어졌지만 곧 진압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30일 밤 대규모 시위가 전개되었다.

30일 김해 읍내 만세 시위는 서울 정신여학교 재학생이던 구명순(具命順)이 주도하였다. 밤 9시경 구명순은 박덕수(朴德秀) 등 읍내 기독교 예배당 여성들과 함께 김해군청 앞 거리를 행진하며 독립 만세를 고창하였다. 북문 밖 답곡리에서 이 소리를 들은 배덕수(裵德秀)는 인근 10여 개소를 다니며 주민들에게 만세 시위에 동참하도록 독려하였다.

4월 2일에는 김해 읍내 장터에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송세탁(宋世卓), 송세희(宋世禧), 허종식(許鐘植), 최덕관(崔德瓘) 등은 읍내 장날을 거사일로 정하고 동지를 규합하는 한편, 태극기를 만드는 등 거사 준비를 하였다. 거사 전날에는 밤을 이용하여 격문을 각처에 붙이고, 의용대도 조직하였다. 거사 당일 읍내 장터로 간 송세탁 등은 오후 4시경 태극기를 흔들며 독립 만세를 연호하기 시작하였다. 당황한 헌병 측은 시위대를 해산시키려 하였지만, 송세탁 등이 굴하지 않자 결국 강제로 장터를 폐쇄하며 해산시켰다.

이외에 4월 16일에는 김해면 부근에서 50여 명의 군중이 독립 만세를 외쳤다. 이들은 헌병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만세를 외쳤는데, 헌병들은 발포하며 시위 군중을 해산시켰다. 이 과정에서 중상자 4명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결과]

1919년 김해 읍내에서 전개된 시위로 구명순, 박덕수, 배덕수[이상 3월 30일 시위] 및 송세탁, 최덕관, 최계우(崔桂寓), 김석암(金石岩), 조병중(曺秉重), 송상진(宋相振), 허병(許炳)[이상 4월 2일 시위] 등이 체포되었다.

[의의와 평가]

김해 읍내 만세 시위는 다수의 읍민이 참여하면서 지역민의 항일 독립 의지를 보여준 대표적인 만세 시위이다. 읍내에서 시작된 만세 시위는 차츰 인근 면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면 단위 시위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 「구명순 외 1인 판결문」(대구복심법원, 1919. 5. 10.)
  • 「송세탁 외 6인 판결문」(대구복심법원, 1919. 5. 30.)
  • 『독립운동사』 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 전성현, 『1919, 그날의 기록 3』(국사편찬위원회, 2019)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