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지경론[하] 난승지 제5권 7~ 법운지 제10권 12』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400456
한자 十地經論 下 難勝地 第五卷 七 法雲地 第十卷 十二
영어공식명칭 Sipjigyeongji[latter] Nanseungji Vol. 5 7~Beopunji Vol. 10 12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김해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기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0월 7일연표보기 - 『십지경론[하] 난승지 제5권 7~ 법운지 제10권 12』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3-1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십지경론[하] 난승지 제5권 7~ 법운지 제10권 12』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십지경론[하] 난승지 제5권 7~ 법운지 제10권 12』 경상남도 유형문화재에서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지정
소장처 보현사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대동로117번길 77[수안리 71-1]지도보기
성격 불경
저자 세친
권책 1책
행자 8행 14자
규격 세로 21㎝×가로 16㎝[반곽]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수안리 보현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불경.

[개설]

임진왜란 이후에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중 ‘십지품(十地品)’만 따로 편집하고 해석한 것을 『십주경(十住經)』이라고 한다. 보살의 수행 단계에 따라 구분하는 십지를 ‘십주’라고도 한다.

[저자]

인도의 세친(世親)이 지었고, 북위 때 보리류지(菩提流支)와 늑나마제(勒那摩提)가 각각 번역한 것이 있다. 후에 혜광(慧光)이 두 번역본을 대조하여 하나의 본으로 합한 것이 있다.

[편찬/간행 경위]

고려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에 있는 경전을 저본으로 조선 후기에 별개의 독립된 불서로 만든 것이다. 권수의 서명 아래에 대장경의 함차인 ‘공(空)’ 자가 표기되어 있다. 권12 말미의 간기에는 “고려 대장도감에서 칙령을 받아 1243년에 개판되고, 1634년에 다시 전라도 순천 송광사에서 중간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권7을 제외한 각 권의 권말에는 대공덕주로 임진왜란 때 팔도도총섭을 지낸 각성·성현·이춘발이 화주로 기재되었으며, 각자(刻字)는 선화 등이 참여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2010년 10월 7일 『십지경론[하] 난승지 제5권 7~ 법운지 제10권 12』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3-1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에서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

[형태/서지]

보현사에 소장된 『십지경론[하] 난승지 제5권 7~ 법운지 제10권 12』는 상·하 2책의 목판본인데, 현재는 하권인 권7에서 권12까지의 1책만 있다. 장정의 형태는 오침안 선장본이다. 표지 서명은 ‘십지론(十地論)’이다. 광곽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며, 계선이 있다. 반곽의 크기는 세로 21㎝, 가로 16㎝이며, 8행 14자로 배열되어 있다.

[구성/내용]

『십지경론』은 모두 12권으로 『대방광불화엄경』 가운데 십지품만 따로 번역하고 해석한 것이다. 보살의 수행 단계를 10지로 구분하여 수행 방편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대방광불화엄경』은 원래 별개로 유통되던 여러 경전을 모아서 편집한 것인데, 그중에서 가장 먼저 성립된 경전이 바로 십지품 계통 별행경으로 추정된다. 현재 전하는 범본은 서기 150년 이전에 이미 성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십지의 내용은 보살이 부처님을 믿어 모든 번뇌를 떨치고, 고통에서 벗어나 기쁨을 느끼는 환희지를 비롯하여 이구지·명지·발광지·염혜지·난승지·현전지·원행지·동지·선혜지·법운지 등 10지에 대하여 여러 단계로 나누어 해설하였다. 『십지경론』의 이역본으로는 『점비일체지덕경(漸備一切智德經)』과 『불설십지경(佛說十地經)』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십지경론[하] 난승지 제5권 7~ 법운지 제10권 12』는 조선 후기 지방의 불경 간행 현황과 불교계의 교유 관계 등을 파악하는 데 귀중한 참고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 한국고문헌종합목록(https://nl.go.kr/korcis)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