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김해문화대전 > 김해향토문화백과 > 삶의 방식(생활·민속) > 민속 > 민속놀이
-
경상남도 김해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주민들의 생활과 습관을 반영한 전통 놀이. 민속놀이는 오래전부터 전승되어 온 민족의 전통 놀이로서 그 연원을 정확하게 확정 짓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기록으로 전승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로부터 주로 서민층에서 명절이나 혹은 특별한 일이 있을 경우에 예식의 하나로서 여흥을 돋우고자 행하여졌다. 김해 지역의 민속놀이 역시 다른 지역과 마찬가...
-
...
-
경상남도 김해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 마을의 풍년을 기원하는 민속놀이. 김해 지역에서 ‘줄다리기’는 지역 사투리가 반영되어 ‘줄땡기기’로 통칭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줄다리기는 정월 대보름의 보편적 의례로서 대부분의 마을이나 고을에서 행해져 왔던 것이다. 김해 줄땡기기는 지역에 따라 조금의 차이를 보이지만 대개 서로 편을 나누어 짚으로 만든 줄을 당기며, 마을의 태평과 풍년을 기원하...
-
경상남도 김해시 삼정동에서 전승되고 있는 지신밟기 놀이. 지신밟기는 해가 바뀌는 새해에 마을 사람들과 예인들이 주축이 되어 한 해 동안 마을과 가정의 안녕과 풍요를 비는 제의이다. 지신밟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행이 되는 순차적 구조를 가진 놀이로 벽사(辟邪)와 진경(進慶)의 의미가 담겨 있다. 지신밟기는 보통 열림굿, 당산굿, 샘굿, 길놀이, 집돌이, 대보름굿의 순차적 연행 구...
-
경상남도 김해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편을 나누어 돌을 던져 승부를 겨루는 집단 민속놀이. 석전놀이는 김해 지역에서 편을 나눠 돌을 던져 승부를 겨루는 집단 민속놀이로 오늘날에도 전승되고 있다. 석전놀이의 최초 연원은 알 수 없지만, 원시 시대 부족들이 적으로부터 자신들을 지키기 위해 돌을 무기로 사용하면서부터 시작된 놀이로 추정된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기록에 보면,...
-
경상남도 김해시 유하동에서 전승되고 있는 지신밟기 놀이. 유하걸궁치기는 지신밟기 놀이로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아 재액을 물리치고 복을 비는 마을 행사였다. 정월 대보름 당산제를 지내고 마을 집집마다 다니며 풍물을 울리며 재액을 막고 복을 빌었다. 걸궁치기 혹은 걸립치기라고 하며, 지신밟기, 풍물치기, 매구치기라고도 하였다. 유하리의 걸궁치기는 일반적으로 유하걸궁치기로 불린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신월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지신밟기 놀이. 진례 신월농악은 일제 강점기에 전승이 끊어졌으나 광복 후 1946년 상쇠 심일문을 시작으로 하여 현재 3대 상쇠로 심일문의 아들인 심재수로 이어져 보존되고 있는 지신밟기 놀이이다. 진례 신월마을은 농경지가 넓은 벌이 있는 곳이었기에 풍요를 기원하는 농악이 있었으나 광복 이후 복원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