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400445 |
---|---|
한자 | 金海 妙蓮寺 賢首諸乘法數 |
영어공식명칭 | Gimhae Myoryeonsa Hyeonsujeseungbeopsu |
이칭/별칭 | 『김해 묘련사 제승법수』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대동로 659-27[초정리 157]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기화 |
간행 시기/일시 | 1500년 - 『김해 묘련사 현수제승법수』 간행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9년 8월 1일 - 『김해 묘련사 현수제승법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4호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김해 묘련사 현수제승법수』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17일 - 『김해 묘련사 현수제승법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에서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지정 |
소장처 | 묘련사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대동로 659-27[초정리 157] |
간행처 | 봉서사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치인리 10] |
성격 | 불경 |
편자 | 행심 |
권책 | 11권 1책 |
행자 | 12행 20자[서문, 중편서]|10행 19자[본문 일부] |
규격 | 세로 18.2㎝×가로13.7㎝[반곽] |
어미 |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초정리 묘련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전기 불경.
[개설]
불교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법수(法數)를 숫자의 차례대로 배열하여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일종의 불교 사전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저자]
1384년 행심(行深)이 명나라 태조의 명을 받아 편찬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국내에서 발간된 경위는 등곡(燈谷)의 발문을 통해 알 수 있다. 성화 연간[1465~1487]에 등곡이 우연히 명나라 판본을 구하여 보았으나, 경민(冏敏)이 법수를 간행하자고 요청하자, 포쇄(曝曬)하고 번각할 수 있도록 하였다고 한다. 1500년에 경상도 합천 가야산 봉서사에서 처음 개판하고, 이후 번각본(飜刻本)이 여러 차례 간행되었다. 1673년 간월사에서 목판본으로 번각하여 발간하였고, 1942년에는 교정하고 증보하여 신연활자본으로 『증보 현수제승법수(增補 賢首諸乘法數)』를 발간하였으며, 1960년 해인사에서 다시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12종류의 판본마다 내용의 편차가 있다.
2019년 8월 1일 『김해 묘련사 현수제승법수』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4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에서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
[형태/서지]
11권 1책의 목판본이다. 제책 형태는 오침안 선장본이고, 판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지만 간혹 사주단변(四周單邊)이 혼입되어 있다. 반곽의 크기는 세로 18.2㎝, 가로13.7㎝이고, 계선은 없다. 행자 수는 일정하지 않으나 서문과 중편서는 12행 20자이고, 본문의 일부는 10행 19자로 배열되어 있다. 판심은 대흑구(大黑口)이고,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로 확인된다. 종이의 재질은 닥종이[楮紙]이다.
[구성/내용]
전체 78장으로 되어 있는데, 「현수제승법수서」가 1~2장, 「중편현수법수서」가 3장, 「기교불조(起敎佛祖)」가 4~5장, 「현수제승법수」가 6~69장, 「팔식심왕제문과간」이 70~76장, 「발문」이 77장, 「시주질」이 78장이다.
[의의와 평가]
『김해 묘련사 현수제승법수』 권말에 ‘1500년 경상도 합천지 가야산 봉서사에서 개판’하였다는 간행 기록을 통해서 간행 장소와 시주자를 알 수 있다. 또한 해인사 승려 등곡이 쓴 발문을 통해 개판 당시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학술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