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400455 |
---|---|
한자 | 金海 妙蓮寺 顯正論 |
영어공식명칭 | Gimhae Myoryeonsa Hyeonjeongron |
이칭/별칭 | 『김해 묘련사 현정』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대동로 659-27[초정리 157]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기화 |
간행 시기/일시 | 1538년 - 『김해 묘련사 현정론』 간행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7년 7월 20일 - 『김해 묘련사 현정론』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14호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김해 묘련사 현정론』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17일 - 『김해 묘련사 현정론』 경상남도 유형문화재에서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지정 |
소장처 | 묘련사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대동로 659-27[초정리 157] |
성격 | 불경 |
권책 | 1책 |
행자 | 10행 18자 |
규격 | 세로 22.5㎝×가로 12.5㎝|세로 16.4㎝×가로 10.2㎝[반곽] |
어미 |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 |
권수제 | 현정론(顯正論) |
판심제 | 정(正)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초정리 묘련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전기 불경.
[개설]
조선 전기 유학자의 불교에 대한 비판에 불교 측 입장에서 반박하고 정당성을 논변한 글이다.
[편찬/간행 경위]
『현정론(顯正論)』은 여러 판본이 남아 있는데 현재 기화의 판본이 많이 알려져 있다. 기화의 『현정론』은 전라도 광양 초천사에서 1526년에 간행한 것[동국대학교 도서관 소장]이 가장 오래되었고, 1537년의 전라도 연기사 중간본과 1544년의 황해도 석두사 판본도 남아 있다.
『김해 묘련사 현정론』 권말에 “가정 17년 무오 맹하 일 경상도 지리산 신흥사 개판(嘉靖 十七年 戊戌 孟夏 日 慶尙道 智異山 神興寺 開板)”이라는 간행 정보가 명확하게 남아 있다. 이 책과 동일한 판본이 국립중앙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2017년 7월 2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14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에서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
[형태/서지]
1책의 불분권으로 전체 13장으로 되어 있다. 표지 서명은 ‘현정론(顯正論)’이고, 권수제는 ‘현정(顯正)’, 판심제는 ‘정(正)’으로 확인된다. 제책 형태는 오침안 선장본이다. 판식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고, 책 크기는 세로 22.5㎝, 가로 12.5㎝이고, 반곽의 크기는 세로 16.4㎝, 가로 10.2㎝이다. 본문에는 계선이 없고, 반엽은 10행 18자로 되어 있다. 판심은 백구(白口)이고, 어미는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이며, 주는 쌍행이다. 종이의 재질은 닥종이[楮紙]이다.
[구성/내용]
『현정론』은 배불론자들을 설득시키기 위하여 불교의 이론을 유교의 교훈과 비교하면서 그릇된 견해를 시정하기 위하여 만든 책이다. 배불론자들이 제기한 비판에 대하여 차례로 대답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은 크게 총론과 각론으로 나뉘는데, 머리말에 해당하는 총론에서는 불교의 이론이 유교와 다르지 않으며, 사람을 선행으로 인도하려 한다는 점에서 일치한다고 설명하였다. 불교의 ‘오계’에 유교의 ‘오상’을 비교하였다. 또한 유교에서는 주로 행정과 형벌[政刑] 따위로 사람을 가르치기 때문에 상벌이 따르고, 상벌은 일시적 복종을 조장하기 쉽지만 불교는 ‘인과법’을 가르치기 때문에 각자가 스스로 느끼고 깨달아 심복(心服)하게 된다고 하였다. 세상 사람들 가운데는 상벌로 지도해야 할 부류와 인과법으로 지도해야 할 부류가 있기 때문에, 유교나 불교가 모두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각론에서는 조목별로 불교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비판에 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풀어 설명하고 있다. 본론의 내용은 14가지로 분류된다.
[의의와 평가]
『김해 묘련사 현정론』 권말에 1538년 경상도 지리산 신흥사에서 간행하였다는 간행기와 간행처, 판각자 및 화주 등의 시주질에 대한 내용이 있다. 임진왜란 이전의 귀중본으로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