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400459 |
---|---|
한자 | 景德傳燈錄 卷二十二~二十四 |
영어공식명칭 | Gyeongdeokjeondeungrok Vol. 22~24 |
이칭/별칭 | 『전등 권22~24』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남도 김해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기화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0년 10월 7일 - 『경덕전등록 권22~24』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3-4호 지정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경덕전등록 권22~24』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17일 - 『경덕전등록 권22~24』 경상남도 유형문화재에서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지정 |
소장처 | 보현사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대동로117번길 77[수안리 71-1] |
성격 | 불경 |
편자 | 도원 |
권책 | 1책 |
행자 | 12행 20자 |
규격 | 세로 18.8㎝×가로 15.3㎝[반곽] |
권수제 |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수안리 보현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불경.
[개설]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은 인도 및 중국의 선종 전등법계를 밝힌 책으로 조사(祖師)들의 행적과 어록을 수록하고 있다.
[저자]
1004년 남송(南宋)의 도원(道源)이 인도 및 중국 선종의 전등법계를 밝히려고 역대 조사(祖師)들의 행적과 어록을 모아 편찬한 것이다.
[편찬/간행 경위]
『경덕전등록』은 1004년에 북송의 진종에게 봉헌되었고, 황명에 의해 양억·이유·왕서 등이 내용을 첨삭하고, 교정한 후 1006년에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칙명에 의해 대장경에 편입되었고, 1034년에는 왕수가 30권을 15권으로 엮어 전법원에 입장시켰다는 기록이 『불조통기(佛祖統記)』에 전한다. 이후 1132년과 1316년에 중간되었고, 이후에도 여러 번 중간되었다. 2023년 현재는 1550년 평안도 화장사에서 간행하여 표훈사로 옮긴 표훈사본 일부, 1614년 논산 쌍계사에서 간행되어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는 쌍계사본 등이 고본으로 남아 있다.
2010년 10월 7일 『경덕전등록 권22~24』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3-4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에서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
[형태/서지]
1책의 목판본으로, 오침안 선장본으로 제책되어 있다. 광곽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고, 계선은 없다. 반곽의 크기는 세로 18.8㎝, 가로 15.3㎝이며, 행자 수는 12행 20자로 배열되어 있다. 판심에는 어미가 없고, 각 장의 변란에는 시주자와 편수 등의 이름이 있다. 본문 각 장에는 약체 구결을 묵서로 기록해 놓았다. 종이의 재질은 닥종이[楮紙]로 확인된다.
[구성/내용]
권1~2는 과거칠불(過去七佛)과 석가·가섭을 비롯한 인도의 조사들을 다루었고, 권3~30은 중국 역대 조사들의 행적과 어록이 수록되어 있다. 그중 보현사에 소장된 자료인 권22에는 용화조등의 법계를, 권23에는 운문종의 운문 문언의 법맥을, 권24에는 법안종 개조인 청량 문익과 그 법맥을 취급하고 있다. 이 외에도 권30의 목록에는 신라와 고려의 선승 30여 명의 이름이 있으며, 그중 12명의 행적이 수록되어 있다. 권9에는 도의·혜철·홍척·무염 등이, 권10에는 품일·가지 등이 실려 있으며, 권11~12, 권16~17, 권19~20, 권26 등에서 순지·서암을 비롯한 한국 승려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경덕전등록』은 중국 선종사뿐만 아니라 한국 불교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라는 점에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보현사에 소장된 『경덕전등록 권22~24』는 비록 일부이기는 하지만 조선 후기 각 지방의 경전 간행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