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400545
한자 金海 月峯書堂
영어공식명칭 Wolbong Seodang in Gandongri
이칭/별칭 월봉서원(月峰書院),월봉서당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남도 김해시 덕정로77번길 11-16[관동동 555]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권순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17년연표보기 - 김해 월봉서당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17년 - 김해 월봉서당 현 위치로 이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4년 - 김해 월봉서당 명휘사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2009년 3월 12일연표보기 - 김해 월봉서당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64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김해 월봉서당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김해 월봉서당 경상남도 문화재자료에서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김해 월봉서당 - 경상남도 김해시 덕정로77번길 11-16[관동동 555]지도보기
원소재지 김해 월봉서당 - 경상남도 김해시 관동동 지도보기
성격 서당
양식 홑처마 팔작지붕집[서당]|장여 수장집[서당·풍양재]|홑처마 우진각 지붕[풍양재]
정면 칸수 4칸[풍양재]|5칸[서당]
측면 칸수 2칸[풍양재]|2칸[서당]
소유자 월봉서원
관리자 월봉서원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 관동동에 있는, 조선 후기에 창건하여 일제 강점기에 옮겨 지은 서당.

[개설]

김해 월봉서당(金海 月峯書堂)전주 이씨(全州 李氏) 덕양군파 서계령종중에서 강학을 위해 김해군 장유면 관동리 덕정마을[현 김해시 관동동]에 건립한 서당이다. 전주 이씨 덕양군파는 중종의 5남 이기(李岐)를 파시조로 한다.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소요재(逍遙齋) 이춘흥(李春興)이 경기도 여주 지역에서 김해군 장유면 관동리 덕정마을에 입향하였는데, 이때부터 현 김해시 관동동전주 이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이 되었다. 서계령종중에서는 월헌(月軒) 이보림(李普林)[1903~1972]을 포함하여 문중 자제들의 교육을 위해 김해 월봉서당을 건립하였다. 이보림은 이춘흥의 7대손이며, 아버지는 봉정(鳳亭) 이승기(李承驥)이다. 이보림간재(艮齋) 전우(田愚)[1841~1922]의 문도가 되어 기호학파를 계승하고, 일제 강점기에 조선에 대한 의리를 지키며 성리학을 연구하였다. 이후 고향에 돌아와 김해 월봉서당에서 후학을 양성하였는데, 학생이 넘쳐 났다고 한다. 그리하여 김해 월봉서당은 근현대기 영남 지역에서 기호학파의 교육 기관이 되었으며, 영호남의 화합과 통합을 위해 노력하였다.

[위치]

김해 월봉서당김해시 관동동 555번지에 있다. 덕정사거리에서 북쪽에 조성된 계동로를 따라 덕정로77번길로 접어든 후, 덕정마을회관과 김해 일신재(金海 日新齋)[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앞을 지나 북쪽으로 우회전하면 김해 월봉서당 대문에 도착한다.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율하천의 상류 왼쪽 기슭에 자리하는데, 불모산(佛母山)과 반룡산을 잇는 능선의 남쪽 비탈에 있다. 좌향은 남향이며, 지형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김해 월봉서당 남쪽에는 김해 일신재가 자리 잡고 있다.

[변천]

김해 월봉서당은 1817년(순조 17) 현재의 관동중학교 자리에서 처음 창건되었으며, 1917년에 현재의 자리로 이건하였다. 대청 종도리 하부에 기록된 상량문을 보면 1917년에 건립된 것을 알 수 있다. 1984년 김해 지역 유림에서 이보림의 학덕을 기리고 계승하기 위해 김해 월봉서당 오른편에 사당 명휘사(明輝祠)를 세워 월봉서당에서 월봉서원으로 발전하였다.

[형태]

정당인 월봉서당과 부속 건물인 풍양재(風陽齋)가 ‘二’ 자형으로 나란하게 남북 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풍양재의 서남쪽에는 대문이 있으며, 서쪽에는 중문인 앙지문(仰止門)이 배치되어 있다. 풍양재 동북쪽에는 1984년에 건립된 명휘사가 있다. 따라서 공간은 서당을 중심으로 한 강학 영역과 풍양재를 중심으로 한 재숙소 영역, 그리고 사당을 중심으로 한 사당 영역 세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문으로 정면 1칸의 일주문(一柱門)이 있는데 최근에 중수되었다.

풍양재는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로 전후퇴(前後退)가 발달되어 있다. 평면은 좌측부터 툇마루가 있는 마루 1칸, 툇마루가 딸린 온돌방 2칸, 그리고 통온돌방 1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측 마루 배면 툇간에는 마루를 설치하였고, 네 짝 미서기문을 달아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였다. 마루와 온돌방 사이에는 4분합 들문[네 짝으로 되어 들어 올릴 수 있는 문]을 달아 필요에 따라 마루와 온돌방을 하나의 공간으로 만들 수 있게 하였다. 현재는 다도 교육실로 이용하고 있다. 기단은 거칠게 다듬은 장대석으로 허튼층쌓기를 하였으며, 상단 1단은 갑석처럼 조성해 놓았다. 기단 상부는 시멘트 모르타르로 마감하였고, 초석은 덤벙 주초로 되어 있다. 기둥은 사각형의 기둥을 사용하였으며, 건축 형식은 장여 수장집이다. 도리는 사각형의 납도리를 사용하였고, 3량가 구조이다. 지붕은 홑처마 우진각 지붕으로 평기와를 사용하였는데, 막새를 사용하여 위계를 높였다.

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홑처마 팔작지붕집이다. 한식 기와를 사용하였으며 막새로 마감하였다. 평면은 좌측부터 마루와 온돌방으로 구성된 1칸, 툇마루가 딸린 마루방 2칸, 툇마루가 딸린 마루방 1칸, 툇마루가 딸린 온돌방 1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측 두 번째 칸 마루방 상부에는 다락을 만들고 유리창을 달아 놓았다. 기단은 최근에 수리하여 변형이 되었지만, 자연석을 가공하여 3벌대로 허튼층쌓기를 하였다. 사각형으로 가공한 다듬은 초석을 사용하였으며, 기둥은 모두 사각형 기둥을 사용하였다. 전체적인 건축 형식은 장여 수장집이지만, 정면 기둥 상부에 첨차(檐遮)와 소로로 익공처럼 장식하여 서당의 위계와 정면성을 강조하였다. 도리는 사각형 납도리를 사용하였고, 도리가 5개 사용되어 5량가 구조이다.

[현황]

김해 월봉서당은 2009년 3월 12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64호로 지정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는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에서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되었다. 소유자 및 관리자는 월봉서원이며, 매년 음력 3월 20일에 향사를 올린다. 서당 내에 「김해 월봉서원 고문서(金海 月峰書院 古文書)」[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가 보관되어 있으며, 서당 남쪽에는 전주 이씨 주택형 장수지소(藏修之所)인 김해 일신재가 위치해 있다. 그리고 동쪽으로 약 1㎞ 지점에 전주 이씨 재실 겸 서당인 김해 화산정사(金海 華山精舍)[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가 있다. 현재 서당 주변은 계획 도시가 조성되어 경관이 많이 변하였으며, 이로 인해 김해 월봉서당은 인문학과 다도를 강의하는 교육 시설로 사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김해 월봉서당은 영남 지역 기호학파의 학맥을 계승한 월헌 이보림이 후학을 양성한 교육 시설이다. 기호학을 계승함으로써 근현대기 영남 지역 학문의 다양성이 확보되었으며, 이를 통해 영호남의 화합과 통합에 기여하였다. 웅장해진 외관, 건실한 부재의 사용, 평면의 다양성, 마루방의 조성, 다양한 창호의 이용, 유리 창호의 사용, 그리고 정면 기둥 상부에만 익공 양식을 사용한 점을 보면 근대기 한옥의 변화 양상을 잘 보여 주고 있는 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