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 세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401215
한자 正月 歲時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상남도 김해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양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의례 시기/일시 정월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의 설날과 정월 대보름의 세시 풍속과 금기.

[개설]

정월(正月)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 달로 설날과 정월 대보름, 절기로 입춘이 있는 달이다. 설날과 정월 대보름은 한 해 가운데 가장 큰 명절로 설날부터 정월 대보름까지 이어지는 정월 풍속과 의례, 놀이 등이 많았으며 현대에도 이어져 오고 있다.

[절차]

설날 아침에 차례를 지내는데 종가부터 지내고 다음 큰집 순으로 제를 올린다. 차례를 지내기 전 조왕신 앞에 미리 떡국을 떠 놓고 차례가 끝나면 떡국을 먹고 집안 어른들께 세배를 올린다. 세배가 끝나면 마을 어른들을 찾아다니며 세배를 올린다. 차례를 마치면 간단한 음식을 준비하여 산소를 찾아 성묘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정월 대보름에는 새해 액을 막고 마을의 안녕을 비는 마을 행사, 집안 행사, 점복과 금기, 놀이로 복을 기원하는 다양한 민속 제의가 있었으며, 현대에도 달집태우기, 오곡밥 먹기 등은 이어져 오고 있다.

1. 마을 행사

정월 대보름 마을 행사로 동제와 달집태우기가 있다. 정월 대보름에는 마을 행사가 치러졌는데 보름 전날 밤 마을의 무사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당산나무에 당산제 혹은 동제를 올렸다. 당산제를 지내는 제주(祭主)는 마을에서 가장 평안하고 부정한 일이 없는 사람을 제관으로 선정하였다. 제관은 제를 올리기 위해 목욕재계하고 부정한 곳에 가지 않으며, 부정한 말을 하지 않도록 하였다. 김해시 주촌면 내삼리 내삼마을에서는 여성과 남성으로 편을 갈라 줄다리기를 하는 풍습이 있는데 부정하지 않은 제관이 새끼를 꼬았다. 줄다리기에서 여자들이 이기면 풍년이 든다고 하였다. 김해시 한림면 안하리 안하마을에는 윗마을과 아랫마을이 줄다리기를 하는데 위쪽이 이기면 풍년이 든다고 하였다. 이는 농경 문화의 풍요를 비는 마을의 행사이다. 또 마을 행사로 달집태우기를 하는데 달집은 솔가지, 짚을 엮어 탑처럼 쌓는다. 달집을 태울 때 풍물을 치고 노래를 부르며, 마을과 집안의 번영과 개인의 소원을 빌었다. 달집에 먼저 불을 붙이면 좋다고 여겼는데 총각이 불을 지르면 장가를 가고 아들을 못 낳은 사람은 아들을 낳는다고 여겼다. 그해 액운이 있는 사람들은 저고리 동정을 뜯어 달집에 넣고 태우는 주술을 하였다.

2. 집안 행사

설부터 정월 대보름까지 복조리 걸기, 토정비결 보기, 안택고사, 용왕고사 등의 풍속이 있었다. 정초에 복조리를 방문이나 부엌에 걸어 두면 복이 들어온다고 여겼다. 또 한 해 신수를 보기 위해 점쟁이를 찾아 점을 치거나 토정비결을 보기도 하였다. 넉넉한 집에서는 가내 태평과 소원 성취를 기원하는 안택굿을 치렀다. 여성들은 새벽에 우물이나 샘으로 가서 물을 떠와 집안의 안녕을 기원하는 용왕먹이기, 용알뜨기를 하였다. 또 그 해에 삼재(三災)가 든 사람들은 삼재막이를 하는데 삼재는 들삼재, 누울삼재, 날삼재로 3년간 재액이 든다고 하여 삼재가 든 사람은 점쟁이에게 부적을 받아서 가지고 다니거나 무당을 찾아 삼재풀이를 하였다.

집안에서 음식으로 액을 물리치고 건강을 기원하며 오곡밥, 복쌈, 부럼 깨기, 귀밝이술 마시기 등의 의례를 행하였다. 찹쌀·수수·조·콩·팥·기장 등 여러 곡식을 넣은 오곡밥을 해서 작년에 말려둔 나물로 반찬을 해서 먹는다. 복쌈은 아주까리 잎으로 해서 먹었는데 복쌈을 먹으면 한 해 풍년이 들고, 나무하러 갈 때 꿩알을 줍는다고 여겼다. 부럼 깨기는 호두·밤·땅콩·잣 등 단단한 열매를 깨서 먹으면 부스럼이 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 귀밝이술을 먹으면 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들을 수 있다고 하였다. 또 ‘더위팔기’를 하는데 아침에 골목에 나가 처음 만나는 사람의 이름을 불러 대답하면 ‘내 더위 가져가라’고 한다. 그러면 여름을 무사히 날 수 있다고 믿었다.

3. 점복과 금기

설날과 정월 대보름에는 한 해의 운을 점치는 점복과 해서는 안 되는 금기들이 많았다. 청참(聽讖)은 설날 새벽 무렵에 어느 짐승이 먼저 우는가를 듣고 길흉화복을 점친다. 까마귀가 울면 나쁘다고 여기나 소·닭·돼지·말·염소의 울음소리는 길하게 여겼다. 김해시 생림면 마사리 마사마을에는 소의 울음을 들으면 한 해 소가 잘 되고, 돼지 울음소리를 들으면 돼지가 잘 된다고 생각하였다. 소날에는 손을 베인다고 칼질을 하지 않거나 토끼날에 여자들이 일찍 나가면 재수가 없다고 여겨 남자가 먼저 기상을 하여 집 안을 한번 돌고 부엌에서 솥두껑을 열었다. 개날에 장을 담그면 식구들끼리 싸움을 한다고 여겼으며, 말날에 장을 담그면 맛이 달고 좋다고 믿었다.

사람들은 정월 대보름 달을 보면서 한 해 농사를 점치기도 했는데 달의 색이 붉으면 가뭄이 든다고 믿었고, 달이 예년보다 남쪽으로 내려 뜨면 평야 지대에는 풍년이 들지만 산간 지대에는 흉년이 든다고 믿었다. 또 정월 대보름에 소에게 밥을 줄 때 소가 나물을 먼저 먹으면 흉년이 들고, 밥을 먼저 먹으면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농경 문화에서 달은 풍요를 상징하기에 달의 색, 달의 높낮이에 따라 길흉을 점치는 풍습을 지니게 되었다.

4. 놀이

정초에 마을에서 열리는 놀이로 지신밟기가 대표적이다. 마을의 풍물패가 집집마다 다니면서 풍악을 울리는데 집집마다 들어가 한판 놀이를 하며 집안의 액을 막고 길운을 빌었다. 풍물을 ‘매구친다’고 하였는데 풍물패가 집 안으로 들어오면 집주인은 술과 음식을 대접하였다. 당산나무에서 당굿을 치고, 동네 샘에서 샘굿을 치고 각 집을 돌아다닌다. 김해시 주촌면 내삼리 내삼마을에서는 예로 지신밟기를 할 때 앞소리를 하는 전문 상쇠가 있었다고 한다.

또 김해 삼정동 걸립치기유하걸궁치기가 전통 놀이로 전승되고 있다. 정월 대보름 놀이로 여성들의 그네 타기, 줄다리기, 다리밟기, 쥐불놀이 등이 있다. 다리밟기를 하면 다리에 병이 나지 않고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고 여겼다. 사람의 다리와 건너다니는 다리가 동음이의어인데, 유사한 것은 유사한 것의 전이가 일어난다고 보는 것으로 ‘유감주술’, ‘모방주술’이라고 한다. 다리를 건넘으로써 신체의 다리 힘이 보강된다고 믿었다.

보름날 새벽에 모깃불을 피우면 여름에 모기가 없어진다고 여기거나, 장대를 들고 집 안과 밭을 돌아다니며 새를 쫓는 시늉을 하면 새들이 곡물을 쪼아 먹지 않는다고 믿었다. 또 대나무에 새끼를 묶어 뱀을 쫓고, 절굿공이나 굵은 나무를 가지고 논밭으로 나가 두더지방아를 찧으면 두더지가 해를 입히지 않는다고 믿었다.

아이들은 쥐불놀이를 하였다. 논두렁이나 밭두렁에서 빈 깡통에 불을 넣고 돌리다가 불을 놓았는데 이는 들쥐를 쫓고 해충을 없애는 효과가 있었다. 이런 놀이를 통해 액을 막아내고 건강과 복을 불러오는 의식을 행해 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