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시. 김해시는 북쪽과 동쪽은 경상남도의 밀양시와 양산시, 부산광역시, 남쪽과 서쪽은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창원시와 접하며, 특히 부산광역시 및 창원시와의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김해 지역은 부산광역시의 위성 도시 중 하나이지만 단순한 침상 도시로 보기에는 힘든 면이 있다. 부산광역시에 비해 지가가 저렴하여 김해시로 많은 공장이 이전한 덕분에 다른 위성 도시와...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강동은 김해시 칠산서부동이 관할하는 7개 법정동 중 하나로 칠산서부동의 동쪽에 자리한다. 조선 시대에 김해 지역의 조세를 모다 두는 강창(江倉)이 있었다. 이곳 강창포(江倉浦)에서 세곡을 배에 싣고 낙동강을 거슬러 올라가면 14일 만에 경상북도 문경에 이르렀다고 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관동동의 자연 마을로는 관동마을, 대아리마을, 죽림마을, 화촌마을, 덕정마을, 신안마을이 있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 장유신도시가 개발되면서 팔판산[672.7m] 아래에 있는 신안마을과 덕정마을 일부만 옛 마을의 경관이 남아 있을 뿐 나머지 마을들은 대규모 주택 단지로 변하였다. 관동동의 행정동은 장유3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구산동의 북쪽은 김해시 삼계동과 접하고. 남쪽은 해반천을 기준으로 동쪽 부근은 김해시 대성동, 서쪽 부근은 김해시 내동과 외동, 서쪽은 김해시 주촌면 원지리와 접한다. 구산동을 종단하듯 남북으로 흐르는 해반천 위로 부산-김해경전철이 2011년부터 운행하고 있다. 행정동은 북부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내덕동은 장유동의 북동쪽에 자리하며, 북쪽은 김해시 주촌면, 동쪽은 김해시 명법동, 남쪽과 서쪽은 김해시의 무계동, 유하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장유1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내동은 김해시청 북서쪽에 자리한 지역으로, 행정동은 내외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대성동은 김해시의 중앙 남쪽에 자리한 지역으로, 대성동 조개더미[삼한~삼국 시대 패총 유적] 등 많은 유적지가 있다. 행정동은 북부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대청동은 김해시의 서남쪽에 자리하며, 북쪽과 동쪽은 김해시의 진례면과 삼문동, 남쪽은 김해시 관동동과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서쪽은 창원시 성산구와 접한다. 행정동은 장유2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동상동(東上洞)은 1995년 도농통합 정책으로 ‘시’와 ‘군’이 통합되면서 김해시에 속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이 되었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법동은 김해시 남쪽에 자리하여 북쪽은 김해시 주촌면, 동쪽은 김해시 풍유동과 화목동, 남쪽과 서쪽은 김해시 이동과 신문동, 내덕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칠산서부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무계동은 김해시의 남쪽 중앙부에 자리하여 북쪽과 동쪽은 김해시의 유하동과 내덕동, 명법동, 남쪽은 김해시 신문동, 서쪽은 김해시의 삼문동, 부곡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장유1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봉황동은 김해시의 동남쪽에 자리하여 북쪽은 김해시 북부동, 동쪽은 김해시 활천동, 남쪽은 김해시 부원동, 서쪽은 김해시 내외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회현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부곡동은 김해시의 중앙부에 자리하며, 북쪽은 김해시 주촌면, 동쪽과 남쪽, 서남쪽은 김해시의 내덕동과 무계동, 삼문동, 서북쪽은 김해시 진례면과 접한다. 행정동은 장유1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부원동(府院洞)은 1995년 도농 통합 정책으로 김해시와 김해군이 통합되면서, 김해시에 속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이 되었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불암동은 김해시 동쪽에 자리하여 북쪽은 김해시 지내동과 맞닿아 있고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불암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삼계동은 김해시의 중앙부에 자리한 지역으로 북동쪽은 김해시 생림면, 남동쪽은 김해시의 구산동과 삼방동, 남서쪽은 김해시 주촌면, 북서쪽은 김해시 한림면과 접한다. 행정동은 북부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삼문동의 자연 마을인 삼문마을은 김해 김씨(金海 金氏), 김해 허씨(金海 許氏), 문화 유씨(文化 柳氏)가 터를 잡고 살았던 곳이다. 김해 김씨의 경우 선대가 임진왜란 때 피난을 왔다가 터를 잡았다고 하며, 이후 허씨들의 외손인 동래 정씨(東萊 鄭氏)가 들어왔으며, 비슷한 시기에 밀양 박씨(密陽 朴氏)도 입거하였다고 한다. 능동마을은 19세기 중반...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삼방동 삼방마을은 재령 이씨(載寧 李氏) 집성촌으로 1400년대 말에서 1500년대 초에 입향조인 사직동 이부가 현감 백자정의 딸과 결혼하여 함안 모곡리에서 이곳으로 이거하여 형성된 마을이다. 삼방동에는 1968년 한일합섬 김해공장이 입주하면서 삼방동 남쪽에 안동공단이 조성되었고, 1980~1990년대 삼방동지구 택지개발사업으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삼정동 지역의 중간 바로 아래쪽에서 남해고속도로가 남쪽과 북쪽을 나누듯 동서로 지나간다. 이 남해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북쪽은 시가지로 개발되어 있고 남쪽은 개발 제한 구역으로 논농사가 이루어져 도시와 농촌의 경관이 모두 나타나는 지역이다. 행정동은 활천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서상동은 가야 시대에는 토성 안에 있는 지역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김해읍성의 사대문을 연결하는 중심 십자로에 자리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김해읍성은 허물어지고 성내 십자로보다 서쪽 편에 남북으로 종단하는 국도 제14호선이 만들어졌다. 김해부의 행정 중심지로 동헌이 있었으며 일제 강점기에도 군청, 등기소, 금융 조합 등이 자리 잡고 있었다. 행정동은...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리. 수가동은 김해시의 동남쪽에서 부산광역시 쪽으로 돌출하여 동쪽과 남쪽, 서쪽이 부산광역시 강서구와 접한다. 녹산수문이 만들어지기 전에는 강변에 지천이던 갈대로 생필품을 만들어 팔기도 하였으며, 조만강 변 나루터를 이용하여 배를 타고 지금의 김해시 화목동과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에 있는 녹산장까지 오갔다고 한다. 행정동은 장유3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신문동은 조선 시대에 상봉림, 하봉림, 범동포, 신문, 용산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중 용산에는 신문진(新門鎭)이 설치되어 있을 정도로 군사적 요충지였다. 1934년 이전까지 오일장인 신문장(新門場)이 신문 대알산 위에서 열렸다고 한다. 녹산수문이 건설되기 전까지는 경작지가 적었으나 수문이 생긴 이후 염해지(鹽害地) 등을 개간하여 농경지로 이용할...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안동(安洞)은 김해시의 동남부에 자리하여 북쪽은 김해시 삼안동, 동쪽은 김해시 지내동, 남쪽은 김해시 불암동, 서쪽은 김해시의 어방동, 삼정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삼안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어방동(漁防洞)은 김해시의 동쪽에 자리하여 북쪽과 동쪽은 김해시의 삼안동, 남쪽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서쪽은 김해시의 동상동, 삼정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활천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외동(外安)은 김해시의 중심부에 자리한 지역으로, 북쪽은 김해시 내동, 동쪽은 김해시 봉황동, 남쪽은 김해시 흥동, 서쪽은 김해시 주촌면과 접한다. 일제 강점기부터 풍물단이 있었는데 정월 대보름을 시작으로 집집마다 풍물을 치며 안택을 하였다고 한다. 풍물패의 활동은 1960년대 후반까지 이어졌다. 행정동은 내외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유하동은 김해시의 중심부에 자리하며, 북쪽과 동쪽은 김해시 주촌면, 남쪽과 서쪽은 김해시의 내덕동, 무계동, 부곡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장유1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율하동(栗下洞)은 김해시의 남쪽에 자리한 지역으로, 서쪽과 북쪽은 김해시의 관동동, 동쪽은 김해시 장유동, 남쪽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창원특례시 진해구와 접한다. 16세기쯤부터 김해 김씨(金海 金氏) 집성촌으로, 지금도 김해 김씨 석성공파 율하 문중의 재실인 율산재가 남아 있다. 2000년대 택지 개발 사업이 추진되기 전에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었...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응달동(應達洞)은 김해시의 남동쪽에 자리하며, 북쪽과 동쪽은 김해시의 신문동과 이동, 수가동이 있고, 남쪽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서쪽은 김해시 장유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장유3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이동은 김해시 칠산서부동의 남쪽에 자리하여 북쪽과 동쪽은 김해시의 명법동, 화목동, 남쪽과 서쪽은 김해시의 응달동, 신문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칠산서부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장유동(長有洞)은 김해시의 남쪽에 자리하며, 북쪽은 김해시 신문동, 동쪽과 남쪽은 김해시 응달동과 부산광역시 강서구, 서쪽은 김해시 율하동과 접한다. 2000년대 김해율하2지구 택지개발사업이 진행되면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마을 경관이 크게 변화하였다. 행정동은 장유3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전하동은 김해시의 남동쪽에 자리하며, 북쪽과 동쪽은 김해시의 외동과 봉황동, 강동, 남쪽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와 김해시 화목동, 서쪽은 김해시 흥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칠산서부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지내동은 김해시의 동쪽에 자리하며 남쪽으로 김해시 불암동과 맞닿아 있고 부산광역시와도 인접하다. 행정동은 불암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풍유동은 김해시의 남쪽에 자리하여 서북쪽과 북쪽은 김해시 주촌면, 동쪽과 남쪽, 서남쪽은 김해시의 흥동과 화목동, 명법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칠산서부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화목동은 김해시의 남쪽에 자리하여 북쪽은 김해시의 명법동과 풍유동, 동쪽과 남쪽은 김해시 흥동과 부산광역시 강서구, 김해시 수가동, 서쪽은 김해시 이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칠산서부동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동. 흥동(興洞)은 김해시의 남쪽에 자리하여 북쪽과 동쪽, 남쪽, 서쪽이 김해시의 외동과 전하동, 화목동, 풍유동과 접한다. 행정동은 칠산서부동이다....
진영읍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읍. 진영읍은 김해시의 북서부 지역에 자리하며, 읍 소재지는 여래리이다. 진영리 등 13개 법정리를 관할하며, 45개의 자연 마을이 있다. 단감의 원산지로도 유명하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에 속하는 법정리. 내룡리는 진영읍 중앙 남쪽에 있는 지역으로 청동기 시대 돌널무덤이 발굴되었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에 속하는 법정리. 방동리는 김해시의 극서 지역에 자리하여 경상남도 창원시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에 속하는 법정리. 본산리는 진영읍의 북동쪽에 자리하여 북서쪽은 경상남도 창원시, 북동쪽은 김해시 한림면과 접한다. 본산리의 자연 마을들은 낙동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화포천의 배후 습지 주변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들은 옛날부터 사람이 살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곳으로 인식되었으나, 6·25전쟁 이후 주민들이 정착하여 습지를 개간하고 벼농사를 시작하면서 마을이 형성되...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에 속하는 법정리. 사산리는 진영읍의 남쪽 중앙에 자리한 지역이다. 김해시의 극서에 해당하여 서쪽은 경상남도 창원시, 북쪽과 동쪽, 남쪽은 진영읍의 방동리, 하계리, 우동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에 속하는 법정리. 설창리는 진영읍의 서쪽 지역에 자리하여 화포천을 경계로 김해시 한림면과 접한다. 1666년(현종 7) 김해부사 김성(金城)이 청천면(晴川面)과 하계면(下界面), 중북면(中北面), 상북면(上北面), 하북면(下北面)의 세납을 위하여 지금의 국도 제14호선 변에 설창(雪倉)을 세웠다. 이 설창 터를 ‘설창 정자’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이곳에 30...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에 속하는 법정리. 신용리는 설창리와 함께 진영읍의 동쪽에 자리한 지역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에 속하는 법정리. 여래리는 진영읍 행정복지센터가 있는 진영읍의 중심지로, 진영읍에서는 진영리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지역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에 속하는 법정리. 우동리는 진영읍의 남쪽에서 남북으로 길게 형성된 지역이다. 지역에 남아 있는 기록에 따르면, 300년 전 함종 어씨(咸從 魚氏)가 터를 잡고 살기 시작하였으며 창녕 성씨(昌寧 成氏)와 사돈을 맺으면서 그 후손들이 함께 살며 집성촌을 이루었다고 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에 속하는 법정리. 의전리는 진영읍의 남동쪽 끝에 있어 화포천을 경계로 김해시 진례면과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에 속하는 법정리. 좌곤리는 진영읍의 최서단에 자리하여 창원시 의창구 동읍 무점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에 속하는 법정리. 죽곡리는 진영읍의 동남쪽 화포천 유역에 자리한 지역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에 속하는 법정리. 진영리는 진영읍의 북서쪽에 자리하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과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에 속하는 법정리. 하계리는 진영읍의 동남쪽에 자리한 지역이다....
주촌면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면. 주촌면은 김해시의 중앙에 자리하여 북쪽은 금음산[376.3m]을 경계로 김해시 한림면, 동쪽은 김해시 내외동, 남쪽은 남해고속도로 서김해IC가 있는 김해시의 칠산서부동과 장유1동, 서쪽은 김해시 진례면과 접한다. 김해시 도로망의 중심축에 있는 교통의 요충지로, 주촌면 행정복지센터가 천곡리에 있다....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삼리는 주촌면의 서쪽, 유하천 지류인 내삼천(內三川)의 상류 유역에 자리한 지역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농소리 지역에는 가야 시대 성이 축조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수로와 육로가 이어진 지역답게 전략적 요충지로 기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암리는 김해시의 정중앙에 자리한 지역으로, 북쪽은 김해시 한림면의 명동리와 병동리, 신천리, 동쪽과 남쪽은 주촌면의 원지리, 내삼리, 천곡리, 서쪽은 김해시 진례면 고모리와 접한다.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었으나 2000년대 이후 산업 단지가 조성되고 다수의 기업체가 입지하면서 마을의 모습이 변모하고 있다....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망덕리는 주촌면의 남쪽에 자리하여 북쪽과 동쪽, 남쪽은 주촌면의 내삼리와 천곡리, 농소리, 서쪽은 김해시 유하동과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선지리는 김해시에서 주촌면으로 넘어오는 관문으로, 경운산의 서사면에 자리한 지역이다. 번성한 포구가 있었던 지역으로, 현재 도시 개발이 진행 중인 선천들에까지 배가 들어와 외동 및 원지 등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교통의 요충지였다고 한다. 선지리의 선지사(仙地寺)에서 출토된 기와 편 중 공작새 무늬 수막새의 경우 통일 신라에서 고려 전기 사이에...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양동리는 주촌면에서 가장 서쪽에 자리한 지역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지리는 주촌면의 북동쪽에 자리하여 북쪽은 김해시 한림면, 동쪽은 김해시 내외동과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천곡리는 주촌면의 중간 지점에 자리한 지역으로 면 소재지이다....
진례면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면. 진례면은 김해시의 서쪽에 자리한 지역으로 면 소재지는 송정리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모리는 진례면의 북동쪽에 자리한 지역으로 진례면의 법정리들 중에서는 신안리 다음으로 면적이 넓다. 편리한 교통과 평지라는 지형적 조건이 들어맞은 일부 지역에 테크노밸리일반산업단지가 들어서면서 옛 모습을 찾아보기가 어려워졌으며, 남초 현상도 보이고 있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에 속하는 법정리. 담안리는 600여 년 전에 김녕 김씨(金寧 金氏)가 자리를 잡으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전한다. 『(국역판) 김해지리지』에는 장내(牆內)로 올라와 있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에 속하는 법정리. 산본리는 진례면의 동남쪽에 자리하여 북동쪽은 진례면 송현리, 동쪽과 남쪽은 김해시의 부곡동과 삼문동, 대청동, 북서쪽은 진례면의 초전리, 신월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정리는 진례면의 면 소재지가 있는 중심 리로서, 가야 시대 고분군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일찍부터 사람들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이다. 400여 년 전 청주 송씨(淸州 宋氏)가 입향한 후 집성촌을 이루었으며, 마을 입구에 주민들의 교육을 담당했던 벽송서당이 있었다고 전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현리는 진례면의 남동쪽에 자리한 지역이다. 진례천의 범람으로 형성된 비옥한 배후 습지 지역이어서 주로 농업이 이루어졌었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에 속하는 법정리. 시례리(詩禮里)의 자연 마을 중에서는 상촌이 가장 먼저 형성되었고, 이후 상촌의 동쪽 낮은 지대에 하촌이 생겨났다. 상촌 북쪽에는 새로 생겨난 마을이라는 의미를 가진 신기가 있는데, 세 마을 중 가장 늦게 형성되었다고 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안리에는 가야의 시조인 김수로왕(金首露王)과 관련한 이야기가 전하고, 조선 전기 편찬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도 “무송지[현 신안저수지]가 부의 서쪽 35리에 있다.”라고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일찍부터 사람들이 농사를 짓고 거주한 곳으로 보인다. 서쪽의 평지와 동쪽의 신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월리는 진례면의 남서쪽에 자리한 지역으로, 남북으로 기다란 모양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에 속하는 법정리. 초전리는 진례면의 중앙에 자리한 지역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에 속하는 법정리. 청천리는 진례면의 북서쪽에 자리한 지역이다....
한림면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면. 한림면은 김해시의 북쪽에 자리한 지역으로 북동쪽은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동쪽은 김해시의 생림면과 북부동, 남쪽은 김해시의 주촌면과 진례면, 서쪽은 김해시 진영읍,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과 접한다. 화포천 유역이라 벼농사가 발달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자연 마을이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역원 취락[금곡역]...
-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동리의 북쪽은 낙동강을 경계로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과 접하고, 서쪽은 주진천[주천강]을 경계로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과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산리는 독뫼 주변에 자연 마을인 가산(佳山)과 신전(新田)이 형성되어 있다....
-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곡리는 작약산[377.7m]의 분수령을 경계로 서쪽 사면에 자연 마을들이 자리 잡고 있다....
-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동리는 한림면의 중앙부 남쪽에 자리하여 동쪽은 구릉성 산지를 사이에 두고 한림면 용덕리와 신천리, 서쪽은 한림면 퇴래리와 병동리, 남쪽은 금음산[376.3m]을 경계로 김해시 주촌면 덕암리, 북쪽은 한림면 안하리와 접한다. 명동리 북쪽으로 유입되는 퇴래천 유역에 주거지가 형성되어 있다....
-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병동리는 한림면의 남서쪽에 자리하여 북쪽과 동쪽은 한림면의 퇴래리와 명동리, 남서쪽은 김해시 진례면 고모리, 서북쪽은 화포천을 경계로 김해시 진영읍 설창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시산리는 한림면의 최북단인 낙동강 하류에 형성된 지역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천리는 한림면의 남쪽에 자리하여 동쪽은 김해시 삼계동, 남쪽은 김해시 주촌면의 덕암리, 원지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안곡리는 한림면의 남동쪽에 자리한 지역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안하리는 한림면의 중앙부 동쪽에 자리하여 동쪽은 김해시 생림면 생림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덕리는 한림면의 화포천 아래쪽에 자리한 지역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방리는 한림면 행정복지센터가 있는 한림면의 중심 지역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퇴래리는 한림면의 중앙에 자리한 지역으로, 조선 시대 생원과 진사를 30여 명 이상 배출할 정도로 영남에서는 유명한 마을이었다....
생림면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면. 생림면은 김해시의 최북단에 자리하여 북쪽은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과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나전리는 생림면의 남쪽 끝에 자리하여 북쪽은 생림면 사촌리, 동쪽은 산지를 경계로 김해시 상동면의 우계리와 묵방리, 남쪽은 김해시 삼안동, 서쪽은 생림면 봉림리, 김해시 한림면 안곡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요리는 생림면의 북동쪽에 자리하여 북쪽과 동쪽은 낙동강을 경계로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과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남쪽은 김해시 상동면 여차리, 서쪽은 생림면 안양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사리는 생림면의 북서쪽에 자리하여 서쪽과 북쪽은 낙동강을 경계로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동쪽은 생림면, 남쪽은 김해시 한림면과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림리는 생림면의 중앙부에 자리하여 북쪽은 생림면 생철리, 동쪽은 김해시 상동면 여차리와 생림면 사촌리, 남쪽은 김해시 한림면 안곡리와 생림면 나전리, 서쪽은 생림면 생림리, 한림면 금곡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생림리는 ‘동쪽에 있는 숲 부근에 형성된 마을’을 뜻하는 ‘살숲말’의 한자 차자(借字) 표기로 유추되며, 한림면의 동쪽에 자리하여 유래한 지명이라고 한다. 생림리 자연 마을인 경동은 자경동(自耕洞)이라고 하였으며 150년 전 기와를 만들어서 잰골이라고도 하였다. 하봉은 봉림에서 분동한 마을로 ‘아래봉림’에서 ‘하봉’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생철리(生鐵里)는 생림면의 북쪽 중앙에 자리하여 북쪽과 동쪽, 남쪽은 생림면의 마사리와 안양리, 봉림리, 서쪽은 김해시 생림면 봉림리와 접한다. 고려 후기까지 철이 많이 생산되었다고 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촌리는 생림면의 동남쪽에 자리하여 북쪽은 생림면 생철리, 동쪽은 김해시 상동면의 여차리와 우계리, 남쪽과 서쪽은 생림면의 나전리, 봉림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에 속하는 법정리. 안양리는 생림면의 북단에 자리하여 북쪽과 동쪽은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과 김해시 생림면 도요리, 남쪽과 서쪽은 상동면 여차리와 생림면의 생철리, 마사리와 접한다....
대동면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면. 대동면은 김해시 동부의 아래쪽에 자리하여 낙동강의 본류 유역권에 속한다. 면 소재지는 초정리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괴정리는 대동면에 중앙에 자리한 지역으로, 백두산[354.3m]의 분수령을 경계로 대동면 예안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감리’라는 명칭은 감천리(甘泉里)에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감천리는 『호구총수』 이후에 대감천리와 소감천리로 나누어져 있다가 통합되었고, 대감천리가 축약되면서 대감리가 되었다고 한다. 일설에는 “감내의 큰 마을이므로 대감”이라 했다고 전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산리는 대동면의 북동쪽에 자리하여 서쪽과 북쪽은 김해시 상동면, 북동쪽은 낙동강을 경계로 경상남도 양산시, 남쪽은 대동면 대감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안리는 대동면의 남서쪽 끝에 자리한 지역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예안리는 대동면의 중앙에 자리한 지역이다. 남쪽 평지 지역은 농경지로 이용되는데, 최근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상품성 작물의 재배가 늘어나고 있는 전형적인 대도시 근교 농촌 지역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월촌리는 대동면의 동쪽 지역에 자리하여 낙동강과 접한다. 일제 강점기인 1931~1933년 사이에 낙동강의 여러 물줄기를 한 줄기로 아우르는 일천식 공사를 진행하였는데, 낙동강 제방이 이곳 월촌리에서 시작되었다....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눌리(鳥訥里)는 김해시의 가장 동쪽에 자리하여 북쪽은 대동면 월촌리, 동쪽은 낙동강을 경계로 부산광역시 북구, 남쪽과 서쪽은 대동면의 초정리, 괴정리와 접한다. 낙동강 변 하천 부지에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대규모 채소 재배 단지가 있었으나 4대 강 사업으로 사라졌다....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주동리는 대동면의 남서쪽에 자리하여 북쪽은 신어산을 사이에 두고 김해시 상동면 묵방리와 접하고, 동쪽과 남쪽, 서남쪽은 대동면의 예안리와 주중리, 서북쪽은 김해시 삼방동과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주중리는 대동면의 서남쪽에 자리하여 북서쪽 돗대산[381m]에서 남쪽으로 이어진 산줄기를 경계로 대동면 수안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초정리는 대동면의 동남쪽에 자리하여 북동쪽에 있는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이어진 산줄기를 경계로 대동면의 괴정리, 예안리와 접한다. 남쪽에는 서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대저도, 동쪽으로는 낙동강을 넘어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과 마주 보고 있다. 대동면의 중심지이다....
상동면
-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법정면. 상동면은 김해시의 북동쪽에 자리한 지역으로, 김해시 행정 구역 가운데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서쪽으로 무척산[702.2m], 석룡산[493.6m], 안산[251.7m]의 분수령을 경계로 김해시 생림면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신어산[630.7m], 장척산[531m], 동신어산[459.1m]의 분수령을 경계로 김해시의 삼안동, 대동면과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감노리는 상동면의 북쪽에 자리한 지역으로 상동면에서는 가장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감노리에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여러 역사서에 기록될 만큼 이름난 큰 사찰이었던 감로사(甘露寺)가 있었는데, 이 감로사를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전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감리는 상동면의 중앙에 자리한 지역으로 면 소재지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매리는 상동면의 동쪽, 김해시의 북동쪽에 자리한 지역으로, 북쪽은 낙동강을 경계로 경상남도 양산시와 마주 보며, 동쪽과 남쪽은 김해시 대동면 덕산리, 서쪽은 상동면 대감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묵방은 윗묵방과 아래묵방으로 나누어져서 각각 상묵방, 하묵방으로도 불렸다. 상동면의 남쪽에 자리하여 북쪽과 동쪽은 상동면의 우계리와 대감리, 남쪽은 김해시의 삼방동과 대동면 주동리, 서쪽은 김해시 생림면 나전리와 접한다....
-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여차리(餘次里)는 생림면의 북동쪽에 자리하여 북쪽은 낙동강을 경계로 경상남도 양산시와 경계를 이루고, 동쪽과 남쪽은 상동면의 감노리와 대감리, 우계리, 서쪽은 김해시 생림면의 사촌리, 봉림리, 생철리, 안양리와 접한다. 조선 시대부터 도기소(陶器所)가 있었던 마을이다....
-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우계리(右溪里)는 상동면의 중앙 서쪽에 자리하여 북쪽과 동쪽, 남쪽은 상동면의 여차리와 대감리, 묵방리, 서쪽은 김해시 생림면의 나전리, 사촌리와 접한다. 조선 시대 중앙 관청인 수어창(守禦倉)에 상납하던 곡식을 보관하던 창고와 종이를 만드는 지소(紙所) 등이 조선 후기까지 있었던 지역이다....